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중재반응(RTI) 기반 학습장애 진단 평가
신간
중재반응(RTI) 기반 학습장애 진단 평가
저자
Joseph F, Amanda M, Edward S
역자
김동일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1.03.1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28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90151-36-8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0,000원

초판발행 2021.03.15


학습장애 연구는 실제로 연구 이전의 가치문제와 법적, 제도적 정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미국에서 학습장애 연구가 첫 번째로 붐을 이루게 된 것은 1977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 교육부가 5개 대학의 연구소들에 대해 막대한 연방기금을 지원한 것이었습니다. 이 연구소들은 컬럼비아 대학, 시카고의 일리노이 대학, 캔자스 대학, 미네소타 대학, 그리고 버지니아 대학 등에 소재해 있었습니다. 각 연구소에 학습장애의 판별, 평가, 교육방법에 대한 막대한 연구비를 다년간 지원하였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 연구비를 지원받아 미네소타대학의 학습장애연구소(Institute of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를 중심으로 학습장애 진단 및 평가에 대한 연구를 5년 동안 지속되었고 다양한 주제와 훈련받은 전문가를 배출하여 지속적으로 학습장애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습니다. 본 역자도 미네소타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이수하면서(1988-2003) 학습장애 진단 및 평가, 중재와 상담에 대한 “특수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학습장애 연구에 있어 기억할 만한 커다란 움직임은 2000년 미국 교육부 산하의 OSEP (Office of Special Education Programs)에서 학습장애의 진단 및 평가를 중심으로 학습장애 전문가를 초빙하여 2년에 걸쳐서 연구 작업을 수행한 것입니다. 그 결과 2001년 8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연구모임(Learning Disabilities Summit)에서 중재반응(RTI)에 대한 공식적인 합의와 2005년 IDEA 재승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자세한 내용은 김동일 역, 학습장애 연구와 실제, 2010 참조).

중재반응(RTI)모델은 효과적 수업(중재)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의 정도로 학습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교육중심 평가 접근입니다. 반응도는 반응속도와 학업성취 수준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한다. 일단 첫 단계에서 또래에 비해 심각하게 반응도가 낮은 학생에게는 다음 단계에서 효과적인 수업을 일정 기간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투입하면서 그 반응도를 추적해 갑니다. 이러한 집중적인 중재와 이후의 개별화 교육에 참여하였음에도 동등한 지적 능력의 또래들에 비해 효과적인 중재에 반응하는 정도가 심각하게 낮을 경우 이를 학습장애 위험군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아직 우리나라 교육 기관과 상담 현장에서는 RTI기반 학습장애 진단 평가 매뉴얼이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이 책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고 체계적인 지식을 가지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 책을 내놓기까지 매우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교육사각지대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사와 교사 연수 워크숍을 직접 참여하고 운영해 준 서울대학교 연구원들, 그리고 정성어린 손길로 책을 만들어준  박영스토리 임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특히,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SSK중형단계 교육사각지대연구사업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전문가 양성과정에 참여한 여러 현장 교사와 상담사들을 기억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으로 동참해준 독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1년 관악산 연구실에서
오름   김 동 일

저자 소개

Joseph F. Kovaleski 박사는 펜실바니아 인디애나대학교의 학교 심리학 전공 교수이자 학교 심리학 박사 과정의 전공주임이다. 그는 국립학습장애센터(National Center for Learning Disabilities, NCLD)에 있는 RTI 실행 네트워크(RTI Action Network)의 자문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고, School Psychology Review의 편집위원회에 있다. 2005년에 Edward S. Shapiro와 함께 펜실바니아 주에서 펜실바니아 교육 및 기술 지원 네트워크(Pennsylvania Training and Technical Assistance Network)를 통해 RTI를 시작하였다. 그는 RTI 관련 논문, 책 챕터, 웹 기반 콘텐츠를 발행하였고, 또한 학교 개혁 및 학교 심리학 관련 다른 주제들을 연구하였다.

Amanda M. VanDerHeyden 박사는 여러 학교에서 근무한 상담사이자 연구자, 교사 연수전문가이고, Alabama의 Fairhope에 있는 Education Research and Consulting 회장이다. NCLD에 있는 RTI 실행 네트워크(RTI Action Network)의 자문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고, NCLD의 교육 프로그램 위원회(Education Programs Committee)의 구성원이자 미국 교육부 교육과학연구소의 패널리스트이기도 하다.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의 16분과(학교 심리학)에서 Lightner Witmer Early Career Contributions Award를 수상하였다. 또한, School Psychology Review의 부편집장이고, RTI에 관한 다수의 논문 및 저서를 출판하였다.

Edward S. Shapiro 박사는 Lehigh University의 사범대학에서 학교 심리학 전공 교수이자 연구실천진흥센터(Center for Promoting Research to Practice)의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다. APA 16분과에서 우수과학자상(Senior Scientist Award)을 수상하였고, 많은 책의 저자 및 공저자이며 교육과정 중심 평가 및 학업기술 문제의 비표준화 평가방법과 관련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현재 펜실바니아주 교육부와 협업하여 주의 RTI 수행을 개발하고 있다.


역자 소개

김동일 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대학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서울대 사범대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2016)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연구사업단 단장, SSK중형단계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연구사업단 단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한국특수교육학회 부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1장 중재반응접근의 역사적 및 법적 배경
2장 학교 개혁으로서 중재반응접근법 구현
3장  학업 저성취의 평가
4장 향상률 결정
5장 배제 조건
6장 배제 준거: 적절한 교육의 결핍
7장 관찰 평가
8장 RTI 시스템의 학부모 참여
9장 학습장애 특수교육 적격성 결정
10장 IEP 작성을 위한 RTI 데이터 사용
11장 RTI와 특정학습장애에 대하여 자주 묻는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