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재활상담학개론(제2판)
개정판
재활상담학개론(제2판)
저자
Vilia M. Tarvydas, Michael T. Hartley
역자
신성만 외 10인
분야
상담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0.05.3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484P
판형
사륙배판
ISBN
979-11-896-4379-9
부가기호
9318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8,000원

제2판 발행 2020.05.30


최근 재활상담(Rehabilitation Counseling) 분야의 미국 대학원에 제자들을 진학시킬 기회가 있었다. 현재 U.S. World News and Report 의 미국 대학원 프로그램 평가에서 이 분야의 공동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과 Michigan State University의 학위과정이다. 두 프로그램 모두 수년째 이 분야의 1위를 지키고 있고 각 학교의 졸업생들이 학계와 현장에서 모두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두 프로그램의 학과장들이 대학원 합격자들에게 꼭 일독을 하고 오라고 추천하는 책이 공통적이었다는 점이다. 그 책이 바로 Tarvydas와 Hartley가 에디터로 참여 한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Second ed. 이 책이다.

이 책이 처음 나왔을 때 최근의 재활상담분야의 제반 영역들을 광범위 하면서도 밀도 있게 균형감을 가지고 잘 다룬 책이라고 생각했다. 2판에서는 재활상담 대학원 과정의 인증시스템인 CORE(Council on Rehabilitation Education)와 미국상담학회의 프로그램 인증시스템인 CACREP(Council for Accreditation of Counseling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이 통합되는 과정의 복잡하고 미묘한 이슈와 전망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통찰을 포함시키면서도 동시에 책의 내용들이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도록 서술하고 있다. 이렇게 좋은 책은 에디터인 University of Iowa 의 Vilia Tarvydas의 혜안과 University of Arizona의 Michael Hartley의 신선한 관점이 만나 조화를 이룬 최선의 결과물이 아니었을까 한다. 이 책이 훌륭하다는 판단은 재활상담 분야의 교수와 학자 그리고 전문가들이 비교적 공통적으로 내리는 결론이라 생각한다.

이 책은 한국상담학회 산하 재활상담학연구회의 연구활동의 일환으로 번역되었다. 최신의 재활상담 기본서를 우선 번역하자고 하는 우리나라의 재활상담 전문가들의 의견들이 모여져서 몇 권의 후보 서적들 가운데 가장 적절한 내용을 담고 있는 이 책이 선정되었다. 역자 분들께서는 각자의 바쁜 연구와 교육 활동들 가운데 틈틈이 시간을 내어 번역에 참여해주셨고 교정과 마무리의 과정을 여러 번 거쳐 출판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 애를 많이 써 준 박영사 편집부와 한동대학교 상담센터의 김예인 선생께 고마움을 전한다. 역자와 각기 맡은 챕터들은 다음과 같다.

한동대학교(상담심리) 신성만 교수가 19, 20장과 기타 부속물들을 번역하였다. 서울대학교(교육상담/특수교육)의 김동일 교수가 6장과 7장을 번역하였다. 경일대학교(상담심리)의 고은영 교수가 11, 13장을, University of Iowa에서 재활상담교육학을 전공한 김기현 박사가 4, 5장을,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김원호 박사가 1, 3장을, 서울대학교(특수교육)의 김희은 박사가 16, 17장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상담심리/미술치료)의 안성희 교수가 21, 22장을,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의 이미지 박사가 9, 10장을, 단국대학교(상담)의 이주영 교수가 12, 14장을, 한국교원대학교(상담심리)의 정여주 교수가 2, 8장을, 인하대학교(교육대학원/상담심리대학원)의 지은 교수가 15, 18장을 번역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재활상담학은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장애와 관련된 유사 접근과 학문들 그리고 직역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장애와 함께 삶을 살아가야 하는 당사자들과 가족들의 심리적 사회적 필요를 구체적으로 바라보고 함께 소통하며 그 빈자리들을 채워가는 재활상담의 서비스들은 안타깝게도 대단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재활영역에서 전문적 상담의 필요성이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 못지않게 상담전문가들의 다양한 영역들 가운데 재활적 접근과 이들에 대한 상담역량이 충분히 준비되지 못한다는 이중구조적 문제를 드러내는 우리의 현실과도 맞물려 있다. 오랫동안 두 전문가 단체들이 노력하여 CORE와 CACREP을 통합시킨 미국의 사례가 나아갈 길을 제시해 준 듯하여 우리나라 재활서비스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어본다. 아무쪼록 이 책 재활상담학 개론이 상담가들에게 널리 읽혀서 재활상담 서비스가 더욱 많이 제공되고 전문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는 시발점이 되기를 기원한다.

2020년 봄
포항 한동대학교 연구실에서
역자대표 신성만   

저자소개

Vilia M. Tarvydas 박사는 미국 공인재활상담사로, 재활 및 상담자 교육 명예 교수이자 장애재활 윤리연구소(Institute on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Ethics: I-DARE)의 설립자이다. 그녀는 외상성 뇌손상과 신체 재활 분야에서 40년간 재활 실무 경험을 하며 재활 상담자 교육자로서 일해 왔다. 그녀의 주된 연구 분야 및 발표 주제는 윤리학, 윤리적 의사 결정, 전문적 관리 및 기준이다. 이와 같은 분야와 관련하여 다수의 저서를 저술했는데, 본서 외에도 기존 저서 「Ethical and Professional Issues in Counseling」의 4판인 「Counseling Ethics and Decision Making」(2016)의 공저자이다. Tarvydas 박사는 상담 직업화, 윤리학, 그리고 자격인증 등의 분야에 긴 경력이 있다. 그녀는 아이오와 행동과학 심사위원회와 징계위원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미국상담학회(ACA) 인가 위원회의 일원으로 수년간 일해 왔다. 최근에는 미국 연합 주립 상담협회위원회(AASCB)/미국상담학회(ACA)의 20/20 구상 발의를 위한 관리감독위원회의 위원으로 일하였다. 그녀는 재활상담사 자격화와 관련하여 방대한 경험을 갖고 있는데, 재활상담사인증위원회(CRCC)에서 8년 동안 조사연구위원회의 부회장과 총무, 윤리위원회의 회장직을 역임하였다. 뿐만 아니라 Tarvydas 박사는 전국재활교육협의회(NCRE), 미국 재활상담협회(ARCA), 그리고 미국 주립 상답협회위원회(AASCB) 세 기관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미국상담학회 윤리위원회와 미국작업치료협회 윤리위원회의 위원이다. 2005년 미국상담학회 윤리강령을 제정한 미국상담학회의 윤리강령 개정 대책위원회의 위원이었으며, 1987년에는 하나의 통합된 재활상담사 전문 윤리강령을 만든 단체들의 모임에서 의장을 맡았다. 2010년 재활상담사 인증위원회 윤리강령 개정을 위한 대책위원회의 위원장이었고, 현재 상담 및 관련 교육 프로그램 인가 위원회(CACREP)의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Michael T. Hartley 박사는 미국 공인재활상담사로, 애리조나 대학교 장애 및 심리교육학부 재활 및 정신건강 전문 상담 프로그램의 부교수이자 책임자이다. 그의 학문적 관심 분야는 윤리 기준의 적용 등을 비롯한 재활상담의 전문화에 있다. 그는 분배의 공정 문제에 대한 연구를 많이 했는데, 그가 수행해 온 윤리적 의무에 대한 학문적 저작들은 주로 회복탄력성 증진의 중요성과 장애인 차별 및 신체적 건강 우선주의에 대한 옹호에 초점을 두고 있다. Hartley 박사는 다수의 연구비 지원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는데, 최근에는 척수 손상 군인의 회복탄력성 지지를 위한 혁신적 개입법을 개발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대표 연구자였다. 또한 그는 장애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 및 중도포기율 감소를 위한 학교와 직장 간 과도기에 대한 개입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했다. 옹호와 관련하여서는 장애인들에게 자기옹호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들이 자기옹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독립생활센터(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CILs)의 대표자 및 공동 연구원을 맡고 있다. 그는 자기옹호와 관련된 연구에서 사회적 소외를 경험한 개개인이 그들의 힘을 되찾고 그들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현대 재활상담 현장에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 연구는 그가 일했던 재활상담사인증위원회의 2017 윤리강령을 개정하는 데 활용되었다. Hartley 박사는 재활상담사의 직무나 재활상담의 실제에 정통하며, 재활상담사란 누구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들을 장애인들과 윤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준비시킬 수 있는지에 전념하고 있다.


역자 소개


신성만
계명대학교 심리학 학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재활심리학 석사
Boston University 재활상담학 박사
현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교수

김동일
서울대학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미국 미네소타대 교육심리학과 석사, 박사
전 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수련감독 전문상담사 1급(한국상담학회)

고은영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한국학습장애학회 이사
현 경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김기현
University of Iowa 재활상담교육학 박사 졸업
연세대학교 불어, 철학 학사
카톨릭대학교 특수교육학 석사
Boston University 재활상담학 석사
The University of Iowa 재활상담교육학 박사
종로비전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센터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국제교류 위원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직업재활 위원
현 한국열린사이버대학 특임교수

김원호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학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재활상담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특수교육 석사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고등교육, 성인교육 및 평생교육 박사
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부연구위원

김희은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유아특수교육과 학사
University of Texas, Austin 특수교육 석사
서울대학교 (협동과정)특수교육전공 박사과정 수료
현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원


안성희
한양대학교 교육학 학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전공 석사
University of Florida 재활상담 석사과정 이수
University of Arkansas 재활상담(정신재활) 박사
전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부 미술치료학과 교수
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연구교수
전 University of Florida 연구교수
현 홍익대학교 상담심리/미술치료 전공 교수
현 상담심리전문가(한국상담심리학회)

이미지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학사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특수교육(재활상담) 석사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박사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시간강사(2019~)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시간강사(2019~)
가톨릭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시간강사(2020~)
현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원

이주영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학사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전공 석사
서울대학교 교육상담전공 석사
서울대학교 교육상담전공 박사
전 생애개발상담학회 총무이사
현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교수

정여주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 전공 학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전공 석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전공 박사
전 플로리다주립대학교 방문연구원
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교수
   상담심리전문가(한국상담심리학회), 수련감독전문가(한국상담학회)
지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석사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재활상담전공 박사
현 인하대학교 학생상담센터 부센터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상담심리대학원 교수

PART 01  도입

Chapter 01 
재활상담: 상담 직업 내의 전문 영역 3
Vilia M. Tarvydas, Dennis R. Maki, and Michael T. Hartley


PART 02  기초

Chapter 02
재활상담 전문가 역량 19
Michael J. Leahy

Chapter 03
전문자격 35
Stephen A. Zanskas and Susan G. Sherman

Chapter 04
상담과 재활상담의 역사와 변천 55
Linda R. Shaw and J. Barry Mascari

Chapter 05
개념과 모델 78
Henry McCarthy
Chapter 06
장애 정책 및 법률 102
Susanne M. Bruyère and Matthew C. Saleh

PART 03  장애인

Chapter 07
장애와 장애인 131
Margaret A. Nosek

Chapter 08
가족 및 관계 관련 주제 149
R. Rocco Cottone

Chapter 09
장애인 권리 커뮤니티 166
Micheal T. Hartley

Chapter 10
글로벌 맥락에서의 장애 관련 쟁점 183
Lisa Lopez Levers


PART 04  전문적 기능

Chapter 11
평가 211
Elias Mpofu and Ngonidzashe Mpofu

Chapter 12
상담 229
Mark A. Stebnicki

Chapter 13
사례관리 250
Martha H.Chapin, Maggie K. Butler, and Vanessa M. Perry

Chapter 14
옹호 265
William Ming Liu and Rebecca L. Toporek

Chapter 15
장애인의 진로 발달과 고용 281
David R. Strauser, Deirdre O’Sullivan, and Alex W. K. Wong

Chapter 16
법정 및 간접 서비스  305
Mary Barros-Bailey


PART 05  전문적 역량

Chapter 17
도덕적 원칙 및 윤리적 의사결정 323
Vilia M. Tarvydas and Sara P. Johnston


Chapter 18
문화 역량과 사회 정의 355
Brenda Y. Cartwaright, Debra A. Harley, and Keisha G. Rogers

Chapter 19
근거중심 실무와 연구 활용 370
Fong Chan, Kanako Iwanaga, Emre Umucu, Rana Yaghmaian, Jia-Rung Wu, Kevin Bengtson, and Xiangli Chen

Chapter 20
정신재활 392
Amanda B. Easton and Patrick Corrigan

Chapter 21
공학기술 414
Mary Barros-Bailey and Keith Sofka

Chapter 22
재활상담사 수퍼비전 431
James T. Herbert

부록 A 재활상담 주요 용어의 약어 모음 453
부록 B 재활상담의 직무 범위 463

찾아보기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