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드라마 가르치기
신간
드라마 가르치기
저자
Mie Fleming
역자
장연주·김수연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0.02.03
장정
페이지
28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90151-89-4
부가기호
93680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19,000원

요즈음 우리 사회에서 교육연극이라는 학문분야가 절정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하기 시작한 이 분야는 30여 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특히 현장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교육연극 관련 서적들은 수적으로 부족하게만 느껴집니다. 이러한 때에 교육연극 전문가들이 더욱 집필과 역서 발간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취지를 가지고 “Starting Drama Teaching”을 우리말로 번역하게 되었습니다.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천적인 부분에 있어 풍부한 사례와 담론을 담고 있는 이 책은 교육연극 지도자들, 교육연극 입문자들, 그리고 교육현장에서 연극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많은 시사점과 실천적 함의 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책이라 사료됩니다. 번역 과정에서 특별히 원어의 의미를 충실히 담고 있으면서도 우리말로 어색하지 않는 표현을 찾는 데 집중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원어 그대로 변역해서 “드라마 가르치기의 시작”이라는 제목에서 “드라마 가르치기”라는 더 자연스러운 제목으로 수정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역자들은 번역하는 과정에서 전체 장을 훑어가며 오역의 여지가 있는 부분들을 찾아내고, 용어를 통일하고 문맥을 다듬는 작업을 함께 하였습니다.
제대로 번역한다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번역을 할 때마다 절감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연극 전문가로서 양서를 선정하고 번역서를 발간하는 작업에 사명감을 느끼며 교육연극 전문서적을 찾으려는 독자들을 위하여 적합한 표현을 고심하며 번역하였습니다. 역자들은 최선을 다해 번역을 하였지만, 책이 출판된 이후 판단은 독자들의 몫이라고 생각됩니다. 독자들의 애정과 도움으로 “드라마 가르치기’가 가치 있는 책으로 재탄생하기를 바랍니다.
박영 스토리에 특별한 감사를 드립니다. 각별히 이 책의 출판에 큰 도움을 주신 박영 스토리의 이영조 부장님, 그리고 한줄 한줄씩 문장을 윤문 작업을 해 주신 배근하 과장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이 책에 언급되는 교육연극 관련 용어들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용어들을 확인하신 후, 이 책을 읽으시길 독자들에게 권해드립니다.

Aim: 목적
Assessment: 사정, Evaluation: 평가. 사정은 학습하는 과정을 평가하는 용어이며, 평가는 학습하고 난 후의 결과를 평가하는 용어이다.
Craft: 기예, Skill: 기술
Creative drama: 창의적인 드라마
Devising: 고안
Drama in education: DIE, DIE는 직접 행하는 연극적 행위를 강조하는 ‘드라마’를 교육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개념으로, DIE 자체가 하나의 장르면서 방법이 될 수 있다. 도로시 헤스코트, 개빈 볼튼 등이 이 분야의 선구자라 할 수 있고 이 책에서는 ‘교실에서 행해지는 드라마 활동 전반’으로 이해할 수 있다.
Drama studio: 드라마 스튜디오
dramatic play: 연극적인 놀이
Goal, Purpose, Objective: 목표
Here and now: 여기 그리고 지금
hotseating: 핫시팅, 글의 인물에 대한 탐구 활동 중 하나이다.
Living through drama: 드라마로 살아가기
Mantle of the expert: 전문가의 외투
Narrative: 서사
National Curriculum Stage: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단계
Pairs work, Pairs exercise: 짝과 함께 하는 작업(활동)
Pause: 정지(잠시 멈춤)
Practice, Exercise: 활동
Process drama: 과정 드라마
Progression: 진전
Questioning in role: 보통은 역할 내 질문하기로 번역하지만, 이 책에서는 글의 맥락에 따라 역할 내 질문하기, 역할로서 질문으로 번역하기도 하였습니다.
Role-play: 역할놀이로 번역되었으며, 글의 맥락에 따라 역할극으로 번역되기도 합니다.
Scheme of work: 수업 계획안(수업 지도안)
setting: 세팅
Sign: 기호
Still image: 정지 이미지
Sub-text: 언외 혹은 숨은 의미
Tableau: 타블로, 정지된 장면을 보여주는 활동이다.
Teacher in role: 역할 내 교사
Theatre: 씨어터
Thought-tracking: 생각 추적하기
TIE: Theatre in education
Warm-up: 웜업


역자를 대표하며
2020년 1월 장연주, 김수연

공역자 약력

장 연 주

동국대학교 연극학과 졸업
동미시건대학교 아동청소년연극전공 석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공학 전공 교육학박사
현재: 동국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교수법연구초빙교수
저서: 교사를 위한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천(박영스토리)
공역: 시실리 오닐의 교육연극- 과정드라마: 구조와 즉흥(연극과 인간)
이메일: act0486@hotmail.com

김 수 연

안양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졸업
서울예술대학 연극과 졸업
워릭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연극전공 교육학석사
워릭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연극전공 교육학박사
현재: 경성대학교 연극학과 조교수
이메일: christina0116@gmail.com

CHAPTER 01 드라마 가르치기
왜 드라마를 가르치는가?
역사적 관점
드라마의 특징
피리 부는 사나이

CHAPTER 02 드라마와 교육과정
학교에서 드라마의 위치
드라마와 예술
드라마와 학습
드라마와 언어 발달

CHAPTER 03 드라마 계획: 수업과 수업 계획안
계획
계획 시 고려사항
교실 문제 다루기

CHAPTER 04 드라마 시작하기
일반적인 오해
일반적인 문제들
시작하기
게임과 활동

CHAPTER 05 드라마의 접근
범주
연극적인 놀이
접근방식의 선택
드라마 질을 알아보기

CHAPTER 06 드라마 창조를 위한 활동
드라마 창조
드라마 활동
전문가의 망토

CHAPTER 07 텍스트 접근법
대본에 근거한 작업
시와 함께 작업하기
산문을 바탕으로 작업하기
극작하기

CHAPTER 08 셰익스피어 가르치기
도입
드라마 활동
워크숍 접근법

CHAPTER 09 공연하기와 반응하기
드라마 공연 
반응하기
드라마와 디지털 기술
드라마와 더 넓은 맥락

CHAPTER 10 진전과 사정
드라마에 있어서의 진전
드라마 사정하기
작업 기록하기

CHAPTER 11 연구 이해하기
연구란 무엇인가?
대조적 관점들
관점의 균형 잡기
주요 개념과 이슈

CHAPTER 12 결 론
의사의 방문
예술로서의 드라마
포함에서 통합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