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아시아로 떠나는 건축·도시여행 -인문학적 여행을 위한 입문서-
신간
아시아로 떠나는 건축·도시여행 -인문학적 여행을 위한 입문서-
저자
후노슈지(布野修司)
역자
한삼건·조용훈·임정아·김성룡
분야
인문학/교양/어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3.11.24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504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1392-4
부가기호
9354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7,000원

초판발행 2023.11.24


 

새벽의 타지마할 온통 흰색 대리석으로 덮인 이 멋진 건축은 현세의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가 없을 정도로 감동적이었다. 유폐된 샤?자한이 하루 종일 바라보고 지냈다는 아그라성에서의 조망 또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었다. 앙코르?와트의 꼭대기에 걸터 앉아서 바라 본 해가 떨어지는 석양은 또 얼마나 황홀했으며, 거대한 입체 만다라인 보로부두르는 벌써 몇 번이나 올랐던가. 갈 때마다 부처님의 생애와 그 가르침을 느낄 수 있다는 부조를 오른쪽에 두고 한 바퀴 걷는다. 부조에 묘사된 건물은 놓치지 않고 수백 장의 사진에 담았지만, 흙바닥으로 되어 있는 토간1식 건물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이스파한의 이맘?모스크(의 모스크), 그 정교한 기하학에 놀란다. 그리고 금요모스크의 수많은 작은 돔들과 그 독창성에 감동한다. 아야?소피아는 단순하고 소박하지만 강력한 공간인데, 이스탄불의 원래는 기독교 교회가 모스크로 바뀐 예이다. 증축에 증축을 거듭한 이슬람건축의 걸작 코르도바의 메스키 타는 반대로 기독교의 대성당으로 바뀐다. 힌두건축을 모스크로 용도를 바꾼 사례로 델리의 쿠틉?모스크를 들 수 있는데, 그 첨탑(쿠틉?미나르)은 아득히 먼 자미?마스지드의 첨탑에서도 보인다. 인도네시아에 이슬람이 전파되고, 모스크가 세워지게 되는데, 이 때 모스크는 목조로 세워지게 된다.

북경의 천단, 이것은 정말로 우주건축이라고 부를만한 것이 아닌가. 경산에서 바라보는 자금성 고궁의 쭉 이어진 지붕, 이것이 바로 군우의 아름다움인데, 사합원이라는 동일한 형식의 반복이지만 변화무쌍한 경관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만리장성, 이것은 또 지구적 스케일의 건축이다.

 

세계유산급의 건축만이 아니라, 소규모 건축에도 주옥같은 것들이 많다. 베트남 하노이의 일주사, 하나의 기둥 위에 불당이 얹혀 있는데 이런 건축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경주의 석굴암, 불상의 이마에 박힌 수정 구슬에 동지의 태양이 정확히 들어맞는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의 가우디라 불리는 네덜란드의 건축가 M?폰트가 세운 자바의 작은 포사랑교회는 수작업의 아름다움이 느껴지며, 마하발리푸람의 작은 힌두사원, 5 개의 라타, 이것은 아마 건축의 원형(모델)일 것이다. 또한 자바 치르본의 왕궁에서 본 파테푸르? 시크리의 내알전(왕이 사적으로 손님을 맞이하는 곳)의 중앙기둥과 같은 목조기둥도 잊을 수 없다.

 

아시아에는 아직 미지의 무수히 많은 훌륭한 건축이 주목받지 못한 채 기다리고 있다. 그래서 실제로 아시아에는 곳곳에서 발전한 보석같은 마을이 남아있으며, 사람들이 꾸준히 만들어 온 수많은 매력적인 도시가 있다. 롬복섬의 차크라느가라 및 라자스탄의 자이푸르 같은 격자형의 힌두 도시, 그리고 카트만 두 분지의 파탄, 티미, 박타푸르를 비롯한 많은 도시의 아름다움을 잊을 수 없다. 이슬람 도시의 막다른 골목들은 어디서나 활기에 넘쳤으며, 테헤란의 바자르, 아마다바드와 올드?델리의 막다른 골목도 인상 깊었다. 서구 유럽 사람들이 만들어 낸 도시도 이미 아시아 도시의 일부가 되었는데, 북부 루손의 비간, 스리랑카의 골, 말레이시아의 말라카, 페낭 등이 금방 떠오르는 도시들이다.

 

건축이란 사람의 생활방식과 함께 존재한다. 살아가는 일과 집에 거주하는 일, 그리고 집을 짓는 일은 모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건축 행위가 모여 도시가 만들어진다. 나는 이 책이 아시아의 건축과 도시를 둘러보기 위한, 그리고 우리들의 도시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그마한 단서라도 줄 수 있다면 다행이겠다.

 

 

후노슈지

편저자소개

 

후노슈지(布野修司)

후노슈지(布野修司)는 일본의 건축, 도시 연구자, 건축 평론가이다. 공학박사(1987년 도쿄(東京)대학 논문박사). 시가(滋賀)현립대학(縣立大學) 명예교수. 동 대학 부총장 및 이사(연구·평가담당)를 역임. 일본건축학회 부회장, 복구부흥지원부회(.復興支援部會) 부회장을 역임했다.

 

<약력>

1949년 시마네(島根)현 이즈모(出雲)시 출생. 1972년 도쿄(東京)대학 공학부 건축학과 졸업, 도쿄(東京)대학 박사과정을 마친 후 도쿄(東京)대학 조교, 도요(東洋)대학 조교수, 교토(京都)대학 조교수 등을 거쳐 2005년 시가(滋賀)현립대 환경과학부 교수, 2015년 시가(滋賀)현립대 정년 후 니혼(日本)대학 특임교수가 되었다. 일본건축학회 건축기획위원회 위원장, 영어회보위원회 위원장. 건축잡지 (建築雜誌)편집 위원장.

 

<수상>

1987인도네시아의 거주환경의 변용과 그 정비수법에 관한 연구-하우징 시스템에 관한 방법론적 고찰(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居住環境変容とその整備手法する硏究-ハウジング·システムにする方法論的考察)”로 도쿄(東京)대학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 논문으로 1991년 일본건축산업협회상 최우수논문상 및 일본건축학회상을 수상, 1982년부터 2000년까지 주거·마을만들기를 위한 동인지 군쿄(群居)’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근대 세계 시스템과 식민지 도시(近代世界システムと植民都市)’2006년 일본도시계획학회 논문상, ‘한국의 근대 도시경관의 형성: 일본인 이주어촌과 철도마을(韓國近代都市景觀形成: 日本人移住漁村鐵道町)’(교토대학 학술출판회, 2010, 후노슈지, 한삼건, 박중신, 조성민 공저)2013년 일본건축학회 학회상(저작상)을 수상했다.

 

감수자 및 역자약력

한삼건 / 韓三建 / Samgeon Han

교토대학 대학원 건축학전공(공학박사)

1994. Ph.D., Department of Architecture, Kyoto University

현재. 울산대학교 명예교수

Present. Professor emeritus, University of Ulsan

 

조용훈 / 趙庸薰 / Yonghoon Cho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공학박사) 1991. Ph.D., Department of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현재.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교수 Present. Professor of Architecture Major,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Convergence of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임정아 / 林貞我 / JeongA Lim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중일어문학과(문학박사 수료)

2022.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hinese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 University

현재. 통번역회사 뉴젠 컴 대표

Present. CEO, Translation Company NewGen Com

 

김성룡 / 金聖龍 / Sungryong Kim

도쿄도립대학 대학원 도시환경과학연구과(공학박사)

2016. Ph.D., Urban Environmental Science, Tokyo Metropolitan Univ.

현재.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조교수

Present. Assistant Professor of Architecture Major,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Convergence of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서문 iii

序章 아시아의 도시와 건축 1

01 ‘아시아유럽’ / 3

02 ‘아시아동양’ / 8

03 아시아는 하나 / 11

04 호류지의 뿌리찾기 / 15

05 일본건축의 기원 / 17

06 동양예술의 계통 / 20

07 동양건축계통사론 / 24

 

1 버내큘러건축의 세계 27

01 아시아의 전통적 주거 / 29

02 오스트로네시아 세계 / 40

03 원시 팔작지붕 / 47

04 이동주거 / 52

05 정롱조 / 56

06 석조벽돌조 / 59

07 고상식 주거 / 63

08 중정식 주거 / 67

09 가족과 주거형식 / 71

10 우주로서의 집 / 77

 

2 불교건축의 세계사 - 불탑이 들어온 경로 85

01 불교의 성지 / 88

02 불교의 계보 / 93

03 스투파의 원형 / 98

04 차이티야와 비하라 / 103

05 불탑의 여러 형태 / 109

06 불교사원 / 123

07 불교의 우주관 / 135

 

3 중화의 건축세계 141

01 자금성 / 143

02 사합원 / 149

03 ‘명당과 예제건축 / 155

04 능침건축 / 159

05 목조건축의 발달 / 162

06 문묘와 도관 / 174

07 티베트건축, 몽골건축과의 교류 / 178

08 중국정원의 세계 / 181

 

 

4 힌두의 건축세계 - 신들의 우주 185

01 힌두교의 신들 / 187

02 힌두건축 / 194

03 가장 초기의 힌두사원 / 202

04 석굴사원과 석조사원 / 205

05 5개의 라타 / 210

06 찰루키아의 실험 / 214

07 시카라의 융성 / 218

08 높이 솟은 고푸람 / 223

09 힌두버내큘러 / 230

10 바다를 건넌 신들 / 235

 

 

5 아시아의 도성과 코스몰로지 245

01 도성과 코스몰로지 / 247

02 고대 인도의 도성사상 / 252

03 고대 중국의 도성 사상 / 258

04 고대 인도와 고대 중국의 도성사상 비교 / 261

05 인도세계와 중국세계에서 도시의 원초형태 / 265

06 인도 도성의 바로크적 전개 / 268

07 중국 도성의 바로크적 전개 / 277

08 원나라 대도 / 286

09 베트남의 도성 / 291

10 일본의 도성 / 296

 

6 이슬람 세계의 도시와 건축 327

01 도시국가의 탄생 / 329

02 최초의 모스크 / 332

03 바위의 돔 / 337

04 왈리드 1세와 3개의 모스크 / 340

05 원형도시와 방형도시 / 344

06 레콩키스타와 콩키스타 / 349

07 아랍이슬람 도시의 원리 / 355

08 아즈하르모스크 / 358

09 이완 / 362

10 시난 - 이스탄불 / 370

11 악바르 / 375

12 청진사 / 381

 

7 식민도시와 식민지건축 389

01 서구 열강의 해외진출과 식민도시 / 391

02 식민도시의 여러 유형 / 405

03 펠리페 2세의 식민도시 / 411

04 해협식민지 / 420

05 동양의 파리 / 424

06 스테빈의 이상도시계획과 네덜란드령 동인도식민지 / 429

07 인도사라센양식의 전개 / 436

08 대영제국의 수도 / 443

09 러시아의 식민도시 / 447

10 중국과 서양열강 / 454

11 일본식민지의 도시와 건축 / 458

 

 

終章 현대 아시아의 도시와 건축 465

01 캄퐁의 세계 / 467

02 도시유산의 계승과 활용 / 471

03 지역생태계에 기반한 건축 시스템 / 473

 

후기 475

역자 후기 478

색인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