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한국 행정학의 해석학적 접근
신간
한국 행정학의 해석학적 접근
저자
강신택
역자
-
분야
행정학 ▷ 행정학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1.02.26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532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1260-6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5,000원

초판발행 2021.02.26


이 저작은 광의의 「행정학 연구의 논리」라는 큰 틀 안에서 한국 행정학의 해석학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여기에는 크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두 가지 내용의 계열이 중첩된다. 하나는 1980년대 이후 거의 40여 년간의 행정학 연구의 논리에 관한 필자의 연구사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행정학회 산하 「행정사상과방법론 연구회」의 10여 년에 걸친 연찬의 일부를 수록한 것이다. 즉 필자의 기존 연구실적과 「연구회」의 연구내용을 결합한 바탕에서 한국 행정학 연구를 위한 해석학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연구의 논리에 관한 필자의 연구사의 4부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정치학?행정학을 중심으로>(1981; 1995)에서 사회과학방법론의 구조를 밝히고 아울러 패러다임에 준한 거대 이론들(grand theories)을 검토하였다.
둘째, 사회과학연구의 논리를 기초로 하여 행정학의 연구논리를 좀 더 쉽게 서술한 것이 <행정학의 논리>(2002; 2005)이다. 행정이론의 구조를 경험주의적 이론, 행위이론, 비판적 이론으로 분류하였는데, 그것을 행정학 연구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행정이론의 분석수준과 맥락단계를 결합한 하나의 교시적인(heuristic) 틀로 제시하였다.
셋째, 위와 같은 행정학의 논리에 따라 한국 행정학자들의 연구 성과의 일부를 정리한 것이 <한국 행정학의 논리>(2005)이다. 여러 가지 접근방법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행정학 연구는 실증적 경험주의 연구방법이 지배적인 경향을 보여 왔다.
넷째, 행정사상과 연구의 논리를 결합하여 한국 행정의 발달과정을 분석한 것이 <행정사상과 연구의 논리>(2013)이다.
한국행정학회의 ?행정사상과방법론 연구회?에서는 철학에 관한 여러 가지 강독을 했는데 본서와 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필자의 사회과학방법론에 관한 재음미이다. 오래전에 발표된 사회과학방법론에 관한 필자의 연구가 연구회의 연찬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에 주안점을 둔 복습이었다.
둘째, 행정학 발달과정에서의 조직관리에 관한 철학적 접근을 고찰했다.
셋째, 행정윤리에 관하여 공직윤리 핸드북, 책임 있는 행정인, 공직 리더십의 윤리역량 분야의 영문 저서들을 번역 출간했다.
넷째, 에드문트 후설의 마지막 저작인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현상학을 심도 있게 연구했고, 이어서 알프레드 슈츠의 ??생활-세계의 구조??도 단계적으로 읽어나갔다.
다섯째, 해석학 일반과 경험적 연구방법으로서의 해석적 접근과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을 연구했다. 본서에서는 이 해석학을 집중적으로 원용했다.
이상에서 언급한 필자의 행정학 연구논리에 관한 연구사와 ?행정사상과방법론 연구회?의 연찬을 바탕으로 본서는 다음과 같이 3부로 구성된다.
제1부에서는 한국 행정학의 논리를 고찰했다.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책의 논의의 준거로 삼기 위한 고찰이다. 제2장에서 주류 사회과학연구의 논리를 중심으로 하되 해석학적 접근과 비판이론적 접근이 적실성을 가진 연구 대상에 관하여도 서술했다. 제3장에서는 한국 정치체제의 역사적 맥락과 제도적 논리의 변화에 따라 해석학적 접근과 비판이론적 접근이 적실한 연구 대상이 많아졌음에도 한국 행정학계의 실제에서는 그러한 연구가 미흡했다는 점을 발견했다. 제4장은 행정학 연구에 관한 성찰인데, 하나는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적실성 높은 연구방법의 모색이고 다른 하나는 행정학 연구에서의 소위 인문학적 접근의 탐색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인문학적 탐색을 했는데 그중 핵심적인 내용은 행정철학, 행정윤리, 현상학, 해석학이다. 이와 같은 성찰에서 아쉬운 점은 개략적으로나마 일종의 성찰 프로그램을 미리 마련한 다음에 성찰했더라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제2부는 한국 행정학의 해석학적 접근을 위해 해석학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본서의 편의상 해석학을 해석학 일반(제5장), 경험적 연구방법으로서의 해석적 접근(제6장), 그리고 철학적 해석학(제7장)으로 정리해 보았다. 여기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이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을 행정학자가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해석 요약하는 일이었다. 아직도 미흡하다고 생각하나 하나의 중요한 시도라고 생각한다. 가다머를 충분히 이해하기보다는 무엇이 논의되고 있는가를 전달하는 데 역점을 두고 그것을 행정학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에 관해 많이 고심했다.
제3부는 한국 행정학과 해석학에 관한 연구이다. 제8장에서 한국 행정학과 해석학에 관하여 개관하고, 제9장에서는 해석학 일반을 원용하여 한국 행정학 발달과정에서의 “해석으로서의 번역” 문제를 다루었다. 제10장에서는 한국의 정치행정 과정을 하나의 “해석학적 순환”으로 해석해 보았는데 한국 정치공동체의 공통의미를 형성해 나가는 데는 미흡했다고 이해된다. 제11장에서는 한국 정치 행정에 관한 영향사(effective history)적 해석을 시도했다. 2000년대 한국의 정치행정 현상은 영향사적 해석을 통해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12장은 본서의 결론인데, 제11장까지의 내용을 요약하고 철학적 해석학을 행정학 연구에서 원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유용성에 관해 언급하고 결국 철학적 접근은 철학적으로 해야 한다는 통찰에 이르렀다.
본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남대학교 김종술 명예교수가 철학 일반과 행정윤리의 강독을 이끌어 주었고, 서울대학교 김홍우 명예교수가 현상학 강독에 도움으로 주었다. 특히 경희대학교 신충식 교수가 후설의 현상학과 가다머의 해석학에 관하여 상세한 해설을 해주었고 본서의 최종 원고를 교정해 주었다. 모두에게 크게 감사드린다.
아울러 하나의 연구회로서 ?행정사상과방법론 연구회?의 활성화를 위해 리더십을 발휘한 가톨릭대학교 박광국 교수, 가톨릭대학교 이종원 교수, 서울대학교 김병섭 교수에게 감사드린다. 특히 7여 년간 먼 거리를 오가면서 연구회를 이끌어 온 제주대학교 김성준 교수에게 감사드린다. 그 뒤를 이은 경주대학교 신희영 회장에게도 감사드린다. 또한, 연구회의 여러 가지 준비와 설득력 높은 공지사항 등을 맡으시고 연구회의 살림을 거의 도맡다시피 한 한림성심대학교 하호수 교수에게 특별히 감사드린다. 더구나 하호수 교수는 본서의 원고를 편집하고 교정하는 작업에서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학술총서의 집필을 지원해 주신 대한민국학술원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 끝으로 이 총서의 발행을 맡아 애쓰신 박영사 사장님과 직원분들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2021년 2월 26일
 강신택

강신택 (姜信澤)

1933년생으로 현재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그는 1959년에 서울대학교의 정치학과를 졸업했고 1961년에 서울대학교 행정학석사, 1963년에 필리핀대학교 행정학석사, 1969년에 미국 펜실바니아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경력은 다음과 같다.

1950-1954: 대한민국 육군복무; 1963-1998: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조교, 조교수, 부교수, 교수; 1975: UNDP Fellow로 미국 연방정부 인사위원회와 하버드대학교에서 연수 및 연구; 1977-1979: 서울대학교 교무부처장; 1979-1980: 펜실바니아대학교 방문교수; 1982-1985: 서울대학교 교무처장; 1984: 한국행정학회장; 1986: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연구; 1988-1990: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장; 1989-1997: Association of Development Training and Research Institutes of Asia and the Pacific 이사, 부회장; 1990-2000: (사단법인) 한국행정문제연구소 이사장; 1998-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1999-현대: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

그의 주요 저서로는 재무행정론(1993), 사회과학연구의 논리(1981; 1995), 행정학의 논리(2002; 2005), 한국 행정학의 논리(2005), 행정사상과 연구의 논리(2013) 등이 있고 역서로는 행정학의 언어(1999)가 있다. 그의 최근 연구 관심은 여전히 사회과학연구방법론과 행정철학 및 해석학 등인데 한국의 행정사상과 방법론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제1부 한국 행정학의 논리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의 목적 5
제2절 연구의 연혁과 범위 7
1. 행정학 논리에 관한 연구 연혁 7
2. 적실성의 추구 11
제3절 본서의 개요 13

제2장 행정학과 사회과학방법론 21
제1절 행정학 연구의 지향 23
1. 행정의 정의 23
2. 연구 지향 24
3. 행정학의 특이성 27
4. 사회과학방법론 29
제2절 주류 사회과학방법론 30
1. 과학철학과 사회과학 연구 30
2. 개념, 정의 및 개념 형성 33
3. 이론과 모형 38
4. 설명과 예측 45
제3절 해석학과 비판이론적 연구 53
1. 행정학과 해석학 53
2. 행정학과 비판이론 59
제4절 행정학 연구의 목적과 방법: 종합 66
1. 연구의 목적과 이론의 구조 66
2. 방법론적 개인주의와 형이상학적 전체주의 67
3. 이론의 분석단위와 수준 68
4. 지식과 정보의 맥락단계 69
5. 분석수준 및 맥락단계와 이론의 적실성 70

제3장 행정사상과 연구의 논리 73
제1절 정치체제의 역사적 맥락과 제도적 논리 75
1. 정치체제의 역사, 제도 및 이론 간의 상호작용 75
2. 시대적 배경의 변동과 정치사회학적 의미 76
3. 자본주의 국가의 제도적 논리 79
4. 행정사상과 연구 논리의 수용 81
5. 시기 구분의 문제 82
제2절 국가 건설기 행정학 연구의 논리 84
1. 국가 건설기 84
2. 제도적 논리 87
3. 행정사상과 연구의 논리 89
제3절 경제 발전기와 과도기의 행정사상과 연구의 논리 92
1. 경제 발전기(국가재건최고회의, 박정희 대통령: 1961-1979) 92
2. 과도기(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 1979-1993) 95
3. 제도적 논리 99
4. 발전연대와 과도기의 행정학 연구의 논리 103
제4절 민주화 이후의 행정사상과 연구의 논리 106
1. 김영삼 정부(1993-1998) 106
2. 김대중 정부(1998-2003) 110
3. 노무현 정부(2003-2008) 112
4. 민주화 시기의 제도적 논리 간의 관계 변화 114
5. 민주화 이후의 행정학 연구의 논리 117

제4장 행정학 연구에 관한 성찰 123
제1절 적실성 부족에 대한 비판 125
1. 비판의 요지 125
2. 적실성의 추구 127
제2절 조직과 관리에 관한 철학적 접근 128
1. 근대 이전 130
2. 모더니스트의 시기 131
3. 모더니스트 이후의 시기 136
제3절 행정윤리 138
  Ⅰ. 행정윤리 핸드북 138
1. 연구 분야로서의 행정윤리 139
2. 행정윤리의 철학적 시각 139
3. 행정윤리의 맥락 140
4. 윤리적 행동의 유지: 외부 통제 140
5. 윤리적 행동의 유지: 내부 통제 141
6. 미국 사회에서의 행정윤리 142
7. 다른 나라에서의 행정윤리 142
  Ⅱ. 책임 있는 행정인 143
  Ⅲ. 공직 리더십의 윤리적 역량 성취 146
1. 윤리적 역량과 리더십 148
2. 윤리역량을 성취하기 위한 교육학적 접근법과 방법 148
3. 전문직업의 분야 내 및 공통의 윤리역량 149
4. 앞으로의 길 151
제4절 후설의 현상학: 유럽학문의 위기와 현상학 152
1. 유럽 인문의 심각한 생활-위기의 표현으로서의 학문의 위기 153
2. 물리적 객관주의와 초월적 주관주의 간의 근대적 대립에 관한 해명: 위기의 원인 154
3. 초월적 문제 및 관련된 심리학의 기능에 관한 해명 156
제5절 슈츠의 현상학: 생활-세계의 구조 166
1. 일상적 생활-세계와 자연스러운 태도 167
2. 생활-세계의 성층<계층화> 168
3. 생활-세계의 지식 170
4. 지식과 사회 172
5. 실천의 영역으로서의 생활-세계 174
6. 경험의 경계들과 경계 건너가기 175


제2부 해석학
제5장 해석학 개론 181
제1절 해석학: 연구의 논리와 철학 183
제2절 해석과 이해의 의미 184
1. 말하다 185
2. 설명하다 185
3. 번역하다 186
제3절 해석학의 대상 187
1. 해석학에 대한 6개의 근대적 정의 187
2. 2000년대 입문서의 해석학 범위 189
제4절 해석학의 기초: 일반적 해석학 194
1. 슐라이어마허의 공헌 194
2. 딜타이의 사회 및 인문과학을 위한 방법 196
제5절 철학적 해석학: 예비적 고찰 200
1. 현상학적 및 실존적 해석학 200
2.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 207

제6장 경험적 해석학 215
제1절 사회과학의 해석학 전환 217
1. 서론: 해석의 문제 218
2. 해석적 연구방법의 분석방법의 다양성 219
제2절 의미와 방법론 220
1. 해석적으로 생각하기: 철학적 전제와 인문과학 220
2. 경쟁하는 과학의 개념 224
3. 개념의 사용 227
4. 일반화 230
5. 엄밀성과 객관성 232
6. 질의 판단 236
제3절 자료의 생성 243
1. 잠재적 증거의 잠재적 자료원으로의 접근 243
2. 말하기 244
3. 관찰하기 246
4. 읽기 247
5. 자료생성을 분석과 분리하기 249
제4절 자료 분석하기 250
1. 역사적 텍스트: 정치적 및 법적 행위자의 분석 251
2. 역사적 텍스트: 학문공동체의 가정을 나타내기 252
3. 당대의 자료: 이야기와 공공정책 253
4. 텍스트 유사물들: 시각적인 것을 “읽기” 254
5. 자료의 해석적 분석의 추가적인 주제들 255
제5절 해석적 방법론을 통한 인문과학의 재인식 256
1. 해석적 지향과 인문사회과학 258
2. 인문적 방식으로 사회과학 하기 258

제7장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 261
제1절 예술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진리의 문제 270
  Ⅰ. 미학적 차원의 초월 270
1. 인문학을 위한 인문적 전통의 의의 270
2. 칸트의 비판을 통한 미학의 주관화 278
3. 다시 제기한 예술의 진리에 대한 물음 284
  Ⅱ. 예술작품의 존재론과 그 해석학적 의미 286
1. 놀이: 존재론적 설명의 실마리 286
2. 미학적 및 해석학적 결과 290
제2절 진리 문제를 인문과학에서의 이해로 확장하기 296
  Ⅰ. 역사적 예비 296
1. 낭만주의 해석학과 그것을 역사연구에 적용하는 문제점 296
2. 역사주의의 난관에 빠진 딜타이 303
3. 현상학적 연구를 통한 인식론적 문제 제기의 극복 308
  Ⅱ. 해석학적 경험이론의 기본 요소들 312
1. 이해의 역사성을 해석적 원리로 고양하기 312
2. 해석학적 기본 문제의 회복 323
3. 역사적으로 영향받은 의식의 분석 330
제3절 언어와 해석학 338
  Ⅰ. 해석학적 경험 매체로서의 언어 338
1. 해석학적 대상 규정으로서의 언어 341
2. 해석학적 행위의 규정으로서의 언어 342
  Ⅱ. 서구사상사에서 ‘언어’ 개념의 발전 344
1. 언어와 로고스 344
2. 언어와 말씀 347
3. 언어와 개념 형성 350
  Ⅲ. 해석학적 존재론의 지평으로서의 언어 352
1. 세계의 경험으로서의 언어 352
2. 매개로서의 언어와 그 추론적 구조 357
3. 해석학의 보편적 측면 361



제3부 행정학과 해석학
제8장 한국 행정학과 해석학 369
제1절 한국 행정학계의 해석학적 연구 371
1. 해석적 연구 동향 371
2. 해석적 방법론 탐색과 원용의 예 373
3. 고전과 해석 375
제2절 법칙적 설명과 해석적 설명 376
1. 대립되는 설명방식의 예: 개요 376
2. 법칙적 설명과 해석적 설명의 비교 378
제3절 본서 필자의 행정학 연구 논리와 해석학 382

제9장 해석으로서의 번역: 한국 행정학의 발달 385
제1절 서론 387
1. 이 장의 관점 387
2. 해석학의 일반이론 389
제2절 한국 행정학의 발달 390
1. 한국 행정학의 외국 영향과 법학적 맥락 390
2. 받아들인 패러다임 391
3. 독자적인 이론구성을 위한 노력 392
제3절 외국 이론의 번역과 수용 395
1. 해석으로서의 번역 395
2. 부분과 전체: 부분과 맥락 396
3. 행정학의 외국 이론 번역과 수용문제 397
제4절 전통과 역사성 402
1. 중국의 고전과 행정학: 저자의 동기와 전통에 관한 관심 403
2. 번역과 맥락적 이해 404
3. 󰡔<논어>와 <맹자>의 행정학󰡕: 책의 구성과 내용 405

제10장 정치 행정과정의 해석적 순환 409
제1절 행정과 해석 411
1. 경험적 연구방법으로서의 해석학 411
2. 행정과 해석 414
제2절 해석적 순환 418
1. 전체와 부분: 맥락과 부분 418
2. 경험주의적 환원과 현상학적 환원 419
3. 해석적 순환 420
제3절 정치 행정과정의 해석학적 순환 422
1. 체제로서의 정치・행정 과정 422
2. 예산과정의 예 426
제4절 민주화 이후의 한국 정치 행정과정의 해석적 순환 430
1. 논의의 범위: 민주화 시기(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기) 430
2. 정치적 역할과 행정적 역할 432
3. 국가 건설과 산업화 시기에 관한 상반된 맥락적 시각들 435
4. 민주화 이후의 국정 운영 438
5. 공통적 의미 형성을 위한 노력 439

제11장 한국 정치・행정에 관한 영향사적 해석  443
제1절 제기되는 질문 445
제2절 한반도의 지정학적 상황: 거대한 힘 속으로 던져짐 449
제3절 한국의 발전과정의 역사적 의미 453
1. 국가 건설기(1945~1961) 454
2. 산업화와 경제 발전기(1961~1979) 456
3. 과도기와 제5, 6 공화국(1979~1988) 457
4. 민주화 이후(1987년 이후) 459
제4절 대립의 반복과 영향사적 해석 463
1. 대결구조의 갈등과 모순 463
2. 대결의 반복과 적폐의 영향사적 누적 465
제5절 대화를 통한 이해 467
1. 언어는 세계관이다 467
2. 공통의미의 추구 468

제12장 결 론 473
1. 논의의 취지와 구성 475
2. 한국 행정학의 논리와 대안의 모색 477
3. 해석학 485
4. 행정학과 해석학 490
참고문헌 496

찾아보기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