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정수 동양철학개론
신간
정수 동양철학개론
저자
정진일
역자
-
분야
인문학/교양/어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9.09.20
장정
페이지
374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0799-2
부가기호
03150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19,000원

나는 대학교 1학년 때부터 그리고 이후 중·고교 교사를 하면서, 20대 10년간을 『전쟁과 평화』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신곡』 『파우스트』 등의 수많은 문학서를 읽으면서, 나도 이런 작품을 쓰고 싶어 습작을 써보기도 하였다.그런데 당시(1970년대 초)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 김동리 선생의 문학 강연을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 선생은 ‘문학작품은 가치 있는 삶, 의미 있는 생을 성찰해 볼 수 있는 철학이 담겨 있어야 하는데’ ― 철학이 없는 작품, 특히 소설은 대중소설에 불과하다고 하셨다. ― ‘안타깝지만 지금 현재 젊은 작가들 가운데에는 철학을 아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30년 안에는 노벨상 후보에도 오를 사람이 없다’고 단언하셨던 것이다.

그때부터 나는 『향연』 『파이돈』 『변명』을 감명 깊게 읽었으며, 『노자』를 비롯하여 『논어』 『반야심경』 등을 비롯한 수 백 권의 철학책을 읽으면서, 30대 10년을 보냈다. 그것들 중에는 심오하기도 하고, 난해한 것들도 많았지만, …. 나는 그것들을 내 것으로 하기 위하여 줄을 긋고, 핵심 내용을 메모하면서 읽었는데, 그것들을 정리해서 『위대한 철인들』을 쓸 수 있었다. 그 후 대학으로 가서 국민윤리 등을 강의하다가, 우리 대학에 철학과가 개설되자 전임하여 중국철학을 강의하면서, 내가 맡은 모든 강의 과목의 책들을 집중적으로 읽고 교재를 만들었다. 다행히 내가 쓴 『철학개론』(박영사)은 36년이 넘게 계속 출간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책이 되어, 정년퇴직 후에는 국립경찰대학에서 교양철학 강의도 하게 되었다.

나는 자기 강의안 없이 강의한다는 것은 불성실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25년 동안을 철학과에서 강의하면서, 『유교철학원론』 『도가철학개론』 『중국철학사』 『유교윤리』 『철학』(『서양철학사』로 출간) 등 십 수 권의 책을 쓰고 정년을 하였다. 그리고 일찍이 호남동양철학동우회에 참여하면서, 우리나라에 『동양철학개론』서가 없으므로 누군가는 이것을 써야 할 것이라고 생각을 하면서도 선뜻 착수하지 못하다가, 마침 서재를 정리하면서 불교서적을 추려보니, 300권이 넘게 있었으므로 이것을 4~5년 동안에 걸쳐서 읽고 정리한 후, 그동안에 출간했던 『유교철학원론』과 『도가철학개론』을 간추려 이 『동양철학개론』을 쓰게 되었다.

동양철학이라 하면 서양철학에 대응하는 말로서, 지역적으로 동양지역의 여러 나라 철학을 뜻하는 말이다. 그러나 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동양철학은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가철학을 말한다. 이것들은 물론 중국과 인도에서 창시되고 발전하여 왔던 것인데, 삼국시대 이전에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우리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왔다. 그래서 최인호를 비롯하여 많은 분들은 동양철학, 곧 유불선이라는 우리의 전통철학은 우리 민족정신의 원형질이요, 우리들의 정체성이요, 우리 민족문화의 바탕이라고 하였다. 이것들을 서로 비교하면서 읽어보면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을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어려운 상황임에도 철학책을 출판해주신 사장님께 감사하며, 어려운 철학책을 꼼꼼히 읽고 아름답게 만들어준 편집부 문선미 과장님께도 감사하면서 출판의 변을 마친다.


지 은 이

정 진 일
현재 조선대학교(철학과) 명예교수.

조선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정년퇴직.

동 대학 고전연구원장, 국립경찰대학 외래교수, 광주유교대학 학장, 범한철학회장, 동양철학 동우회장 등을 역임.

조선대학교 법학과 및 동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하고,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공부함.


주요 저서 및 역서

『위대한 철인들』(양영각),

『철학개론』 『동양의 지혜』 『서양의 지혜』 『유교윤리』 『동양철학개론』(이상 박영사),

『철학』 『유교의 이해』(이상 형설출판사), 『유교철학원론』 『제자백가』(이상 조대출판국),

『도가철학개론』 『주역』(이상 서광사),

『한국문화』 1, 2. 『중국철학사』 『서양철학사』(이상 해동)

『유교철학개론』 『불교철학개론』 『서양철학개론』(이상 출간 예정) 등.

제1부 도가철학
제1장 서 론
제2장 우 주 론
제3장 인 간 론
제4장 인 식 론
제5장 수 기 론
제6장 윤리론과 이상사회

제2부 불교철학
제1장 서 론
제2장 우 주 론
제3장 인 간 론
제4장 인 식 론
제5장 수 행 론
제6장 윤 리 론

제3부 유교철학
제1장 서 론
제2장 우 주 론
제3장 인 성 론
제4장 치 지 론
제5장 수 기 론
제6장 윤 리 론

제4부 동양철학과 인류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