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판 2021.02.20
제2판 2019.02.20
초판 2016.08.30
이 책의 제2판이 2019년 봄 출간된 이후 2019년 말부터 COVID-19 팬데믹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인류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고용관계에도 크나큰 충격을 가져왔다. 아직도 팬데믹은 확산일로에 있어서 고용과 노동에 대한 충격파의 전모를 가늠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제3판에서는 노동시장과 고용관계에의 이러한 충격과 떠오르는 이슈들을 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이번 3판에서는 최근의 고용관계의 변화상과 이론적인 변천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하여 초판과 제2판을 대폭 수정하였다.
거의 모든 장에서 매년 경제상황과 고용구조를 반영하여 변화하는 노동통계를 업데이트하였다. 제2판이 2015, 2016, 2017년의 통계를 주로 활용하였다면 2판은 2017, 2018, 2019년의 통계를 주로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장에서 pre-case와 post-case를 최근의 고용관계 전개상황을 고려하여 COVID-19, 4차산업혁명, 플랫폼 노동 등 새로운 사례로 바꾸었다. 분서에서는 근로자라는 용어에 대한 거부감을 반영하여 법령 등에 근로자로 명시된 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 피고용인이나 직원, 혹은 노동자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특히, 무노조를 다룬 제8장은 갈수록 중요해지는 분야라서 대폭 수정하고 내용도 크게 확충하였다. 3장에서 논의하던 노동이해대변을 위한 새로운 행위자의 내용을 8장으로 옮겨왔고, 6장의 노사협의회의 내용도 8장으로 옮겨왔다. 무노조기업에서 개별적 근로관계를 규율하는 기본적인 노동법적인 이슈들을 포함하였다.
아직은 개선할 곳이 많은 책이어서 독자 여러분의 의견과 지적을 참고하여 지속적으로 수정해나가고자 한다. 모쪼록 많은 관심과 지도편달이 있기 바란다. 끝으로 본서의 출간을 위하여 노력을 기울인 박영사 관계자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표하고, 집필에 수고한 공저자들과 자료확보에 많은 도움을 준 고려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러 조교들의 도움에 감사한다.
2021년 1월
안암동 연구실에서
저자들을 대표하여 김동원
공저자 약력
김동원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대학원 졸업(노사관계학 박사, 1993)
현재고려대학교 경영대 교수, 고용노동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역임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노동대학원장, 총무처장, 기획예산처장, 뉴욕주립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국제노동고용관계학회(ILERA) 회장,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회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민간위원,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 Social Asia Forum 한국대표, 행정고등고시 출제위원, 공무원 7급공채 출제위원, 공기업입사시험출제위원
저서「노조전임자 임금제도 외국사례연구」(박영사, 2014), 「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 (박영사, 2013), 「Gainsharing and Goalsharing」(Praeger, 2004), 「Employment Relations and HRM in Korea」(Ashgate, 2004) 등
이규용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경영학 박사
서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현재남원시 공동체지원센터 센터장, 윈스퀘어경영컨설팅(주) 부대표컨설턴트, 대학경영학회 이사, 한국인사관리학회 이사
역임행정안전부 정부혁신평가단 위원,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위원
저서「인사노무관리론」(공저, 박문각, 2000), 「한국 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 2009)
권순식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국립창원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이사 및 학술지 편집위원
역임주식회사 럭키(LG화학), 고려대학교 직원으로 근무, 한국노총 연구원 연구위원, 한국연구재단 파견, 미국 Rutgers University 연구 교수
저서공저로서 6권의 학술연구도서, 2편의 SSCI 해외 학술지 게재 논문, 30여 편의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등
김동주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수원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
역임한국기업경영학회 상임이사, 수원대학교 경영학과 초빙교수
저서「한국 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 「현대조직의 리더십 로드맵」(공저, 북코리아), 「창업경영론」(다원북스)
김승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노사미래연구소 소장
역임현대자동차 노동자문역, 산업노동학회 운영위원,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금속노조 정책국장
저서금속산업에서의 노조민주주의가 노사관계 성과에 미치는 효과(2016,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공저), 박영사(2013), 한국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2008) 등
김윤호
명지대학교 경영무역학부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겸임교수, 호인사노무법인 대표노무사
역임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우교수, Visiting scholar, School of Management and Labor Relations, Rutgers University
저서한국과 OECD국가의 노사관계 비교연구(2012, 박영사) 외, 3편의 SSCI 등재 영문 연구논문을 비롯해, 다수의 KCI 등재 연구논문 저술
김주희
미국 미시간 주립대 사회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경영학 박사
현재멕시코 몬테레이 대학교 경영관리학과 교수
역임고려대 스페인 라틴 아메리카 연구소 연구 교수
저서산업관계연구 등에 다수의 논문 게재
손동희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한국기술교육대 교육노동연수원 교수
현재한국기술교육대 고용노동연구원 교수, 한국경제사회노동위원회 전문위원
저서「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공저, 박영사, 2013), 「한국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 (공저, 박영사, 2008)
송민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일문학사, 영문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
역임지방공기업 경영평가위원
저서「장기분규사업장 특성 연구」(한국노동연구원, 2014) 등
유병홍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강사
역임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현재 명칭) 채용 상근자: 연맹 정책실장, 민주노총 정책실장 등 역임
저서「한국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공저, 박영사, 2009), 「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 (공저, 박영사, 2013)
이수영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코넬대학교 노사관계대학원 노사관계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한국폴리텍I대학장
역임중앙노동위원회 사무처장,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심의관, 대구지방고용노동청장, 대통령실 고용노사비서관실 선임행정관, 대통령비서실 삶의질향상기획단 행정관, 노동부 혁신성과관리단장, 노사협력복지팀장, 신노사문화추진기획단장
저서「노동법 실무: 인사관리와 분쟁해결」(공저, 중앙경제, 2019), 「백세시대 생애설계」(공저, 박영사, 2020)」
이원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겸임교수
역임하이에치알노무법인 책임노무사,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위원, 산재재심사위원회 심사위원,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공익위원, 한국공인노무사회 부회장 등
저서청소년노동인권실태조사, 한국우량기업의 노사관계 DNA 등
정경은
동국대학교 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행정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겸임교수
역임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정책국장, 정의당 국회정책연구위원
저서「한국의 노사관계 산업별 동향과 전망」(공저, 박영사, 2013), 「서비스산업의 원․하청 관계와 노사관계: 통신업종․전자제품수리업 중심으로」(공저, 한국노동연구원, 2015), 「새로운 노조: 민주노총 신규조직현황 연구(2017-2019)」(공저, 민주노동연구원, 2020)
정흥준
성균관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현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역임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이사 및 한국산업노동학회 운영위원장 등
저서국내외 저널 33편, 공저 5편 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