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민사소송법 (제3판)
개정판
민사소송법 (제3판)
저자
한충수
역자
-
분야
법학 ▷ 소송법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1.02.1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1020P
판형
사륙배판
ISBN
979-11-303-3794-4
부가기호
93360
강의자료다운
-
정가
59,000원

제3판 2021.02.10

제2판 2018.09.30
초 판 2016.02.25


2018년 9월에 출간된 제2판에 이어 2년 반 만에 제3판이 나오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심혈을 기울여 부족하다고 생각한 부분을 보완하였고 학생들의 의견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으나 역시 머리말을 쓰는 이 순간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2020년 2월부터 몰아친 코로나 질병은 2021년이 되어도 잦아들기는커녕 정점을 향해 달리고 있는 인상을 주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민사소송법을 비롯한 법조 및 법학교육은 진화가 계속되고 있다고 믿고 싶다. 비록 학생들의 얼굴을 보지 못한 2020년이지만 녹화수업과 비대면 화상수업을 통해 언택트(untact) 시대를 준비하게 된 점은 매우 귀중한 자산이 아닌가 생각된다. 대면수업을 하게 되는 즐거운 시기가 온다 하더라도 비대면 수업 방식의 장점을 살려 수업의 보완 도구로 활용하게 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비대면 화상수업에 학생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절실한 실정이다.

제3판에서는 2018년 중반기부터 2020년 중반기까지의 판례 변화를 주로 반영하게 되었다(물론 몇 개의 예외는 있다). 주지하다시피 김명수 대법원장이 이끄는 대법원은 다른 시기와 달리 전원합의체 판결이 유난히 많이 선고되고 있어 연구자의 한 사람으로서 기쁜 마음이 없지 않다. 그러나 그 중 몇몇 판결은 매우 아쉬운 내용을 담고 있어 마냥 즐겁지만은 않다는 것이 나만의 생각은 아닌 듯하다. 다음의 일련의 판례가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즉 대법원은 시효완성을 통해 영원히 소멸하지 않는 채권의 존재를 인정하고(大判(全) 2018. 7. 19. 2018다22008) 있을 뿐 아니라 전소 판결로 확정된 채권의 시효를 중단시키기 위한 조치, 즉 재판상의 청구가 있다는 사실에 대해 확인을 구하는 형태의 새로운 방식의 확인소송이 허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大判(全) 2018. 10. 18. 2015다232316). 나아가 대법원은 2019. 1. 29. 민사소송 인지규칙을 개정하여 새로운 방식의 확인소송의 인지대를 대폭 낮춤으로써 시효완성 저지를 구하는 채권자들의 편의를 최대한 보아주고 있다. 국민에 대한 적극적인 사법서비스 개선 차원에서 본다면 획기적이고 바람직한 조치라고 할 수 있겠으나 채권자의 입장만을 지나치게 옹호하는 내용을 담은 판결들은 아닌지 하는 의구심을 가진 이도 적지 않은 듯하다. 아울러 확인의 이익을 인정할 수 없는 사실관계에 대한 확인청구를 입법절차 없이 판례를 통해 인정하는 것은 법 이론적으로 수긍하기 어렵다.

2020. 9. 현재 집단소송 관련 법안이 6개 정도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상태이다. 증권관련집단소송법에 대한 개정안을 비롯해서 기존의 class action 방식의 집단소송을 전 분야로 확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입법안도 존재한다. 소비자, 환경 등의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집단적인 피해구제를 위해서는 부득이 미국의 class action 방식을 확대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위 방식의 집단소송도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므로(opt-in 혹은 opt-out 방식 등) 이에 대한 현명한 접근이 요구된다. 한편 소비자는 집단소송 형태의 전면적인 확대의 필요성을, 기업은 남소의 위험을 강조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데 전문가집단의 목소리가 그다지 들리지 않는 것 역시 과거와 유사한 모습이라 매우 아쉽다. 증권관련 집단소송법이나 소비자기본법 등을 만들 때와 같이 어정쩡한 타협물이 아닌 확실한 제도 개선을 가져올 수 있는 입법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국제적으로는 2019. 7. 2. Hague 국제사법회의에서 민사 또는 상사에서 외국재판의 승인 혹은 집행에 관한 협약(Hague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s in Civil or Commercial Matters)이 채택된 것이 가장 눈에 띈다. 이는 1971년에 발효된 Hague 민사 또는 상사에서 외국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협약의 새로운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1971년 협약의 가입국이 네덜란드를 비롯한 5개국에 불과해서 사실상 유명무실한 존재였으므로 1992년 미국의 제안에 따라 Hague 국제사법회의는 다시금 세계적인 차원의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협약 마련에 착수하였고 비로소 2019년 그 결실을 맺게 된 것이다. 위 2019년 재판협약이 장래에 발효되고(재판협약 28조 2항 a) 우리나라 역시 협약의 당사자가 되어 이를 비준한다면 동 협약의 내용이 국내 민사소송법과 민사집행법의 간접관할 규정과 조응하는 측면도 있지만 충돌하는 국면도 존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이행입법을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기회에 민사소송법과 민사집행법의 관련 규정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개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 책의 개정판이 나오기까지 여러 분들의 도움이 많았다. 지면에 일일이 감사드리지 못하는 점을 양해해 주시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 책의 출간을 맡아주시는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님과 세심하게 편집을 해주시는 김선민 이사님 그리고 여러 박영사 임직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

2021년 우리 모두가 감사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다시금 그리고 조속히 부여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2021. 1. 4.

멀리 중랑천을 바라보며 연구실에서

지은이 씀

저자 약력

한 충 수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법학박사)

제27회 사법시험합격(연수원 17기)

現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차 례

1편 총 론

제1장 민사소송

제1절 민사소송의 목적과 소권론3

Ⅰ. 민사소송의 목적론3

1. 학설의 변천/32. 사권보호설의 타당성/3

3. 회의론과 비판/4

Ⅱ. 소권론(訴權論)5

1. 소권을 둘러싼 견해 대립/52. 민사소송의 목적과 소권/5

3. 소권논쟁의 의의/6

제2절 민사소송의 이상과 그 구현7

Ⅰ. 민사소송의 이상7

1. 적 정/72. 공 평/7

3. 신 속/84. 경 제/9

Ⅱ. 민사소송의 이상 구현9

제3절 민사소송과 비송절차10

Ⅰ. 민사소송10

1. 범 위/102. 민사소송절차 개관/11

Ⅱ. 비송사건13

1. 비송사건의 개념/132. 비송사건의 범주/13

3. 소송사건과 비송사건의 구분/144. 소송절차의 비송화 경향과 문제점/15

제4절 민사소송과 다른 소송절차15

Ⅰ. 형사소송15

1. 목적과 기능/152. 상호접점과 한계/15

Ⅱ. 가사소송16

1. 개 관/162. 가사사건과 절차적 특성/17

3. 가사사건과 민사사건/184. 기 판 력/18

Ⅲ. 행정소송19

1. 개 관/192. 관 할/19

3. 행정사건과 절차의 특성/204. 행정사건과 민사사건/20

5. 이송과 선결문제/21

제5절 대체적 분쟁해결(ADR)22

Ⅰ. ADR의 개념과 의의22

Ⅱ. 법원 연계형22

1. 조 정/222. 화 해/23

Ⅲ. 법원 분리형24

1. 중 재/242. 행정위원회 조정/26

Ⅳ. ADR의 문제점과 해결방안27

제2장 민사소송법

제1절 민사소송법의 의의와 성질28

Ⅰ. 의 의28

Ⅱ. 성 질28

제2절 민사소송법의 적용 범위29

Ⅰ. 시간적 적용범위29

Ⅱ. 장소적 적용범위29

제3절 민사소송법과 실체법29

Ⅰ. 상호 관계29

Ⅱ. 실체법의 흠결과 절차법의 보완31

Ⅲ. 실체법규와 절차법규의 구분과 의미32

제4절 민사소송법의 성격과 소송관의 대립32

Ⅰ. 자유주의적 소송관32

Ⅱ. 사회적 소송관33

Ⅲ. 소송관의 현대적 의의33

Ⅳ. 소송관과 신의성실의 원칙34

1. 신의성실의 원칙과 지도이념/342. 신의성실의 원칙의 보충성/34

3. 신의성실의 원칙의 내용/354. 신의성실의 원칙의 법적 지위/39

제5절 민사소송법의 연혁40

Ⅰ. 대륙법의 계수40

Ⅱ. 절차촉진의 시기(1970-80년대)41

Ⅲ. 심리방식 구조개선(1990년 개정)41

Ⅳ. 업무부담 경감 제도개선(1994년 개정)42

Ⅴ. 심리의 충실화와 신모델(2002년 개정)42

Ⅵ. 민사소송법 및 관련 법률의 최근 개정43

1. 변론중심의 절차와 전문성 제고/43

2. 사법자원의 한계와 소송경제의 촉진/44

3. 집단분쟁의 효율적 처리 방안 추진/45

4. 도산절차의 변화/46

2편 소송의 주체와 소송행위

제1장 법 원

제1절 민사재판권49

Ⅰ. 사법주권(司法主權)49

Ⅱ. 사법권의 구성과 행사49

제2절 국제재판관할권50

제3절 관 할 권50

Ⅰ. 관할권의 의의와 구분개념50

1. 의 의 /502. 구분개념/51

Ⅱ. 관할의 종류51

1. 임의관할과 전속관할/512. 직무관할(직분관할)/53

3. 사물관할/554. 토지관할/60

5. 지정관할/746. 합의관할/75

7. 변론관할/79

Ⅲ. 관할결정의 표준시와 관할권의 조사80

1. 관할의 표준이 되는 시기/802. 관할권의 조사/81

Ⅳ. 소송의 이송81

1. 의 의 /812. 이송의 원인/82

3. 이송절차/874. 이송결정의 효력/89

5. 이송의 효과/89

제4절 민사법원의 종류와 조직90

Ⅰ. 민사법원의 종류90

Ⅱ. 법원의 조직과 구성90

1. 헌법과 법원조직법상의 법원/902. 법 관/91

3. 법원직원/934. 민사재판기관의 특색/96

제5절 법관의 중립성 보장(제척․기피․회피)101

Ⅰ. 제도의 의의101

Ⅱ. 제 척102

1. 제척의 이유/1022. 제척의 재판과 효과/104

Ⅲ. 기 피104

1. 기피사유/1042. 제척․기피절차/106

Ⅳ. 회 피108

제2장 소송의 당사자와 대리인

제1절 당사자의 개념과 양당사자 대립주의109

Ⅰ. 형식적 당사자와 실질적 당사자109

Ⅱ. 양당사자 대립주의와 평등주의109

Ⅲ.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와 절차적 의무110

1. 절차적 권리/1102. 절차적 의무/111

제2절 당사자의 확정112

Ⅰ. 의 의112

Ⅱ. 당사자 확정의 기준112

1. 필 요 성/1122. 학설의 대립/112

Ⅲ. 당사자의 확정 방법114

1. 당사자표시정정/1142. 성명모용소송/116

3. 사망자를 당사자로 한 소송/1174. 법인격부인이론/120

제3절 당사자 능력122

Ⅰ. 소송절차와 각종 능력 개념122

Ⅱ. 당사자능력의 의의123

Ⅲ. 실질적 당사자능력자123

1. 자 연 인/1232. 법 인/124

Ⅳ. 형식적 당사자능력자125

1. 법인이 아닌 사단·재단/1252. 민법상 조합의 당사자능력/130

Ⅴ. 당사자 능력의 조사와 흠결의 효과132

1. 소송요건 및 심리방법/1322. 당사자능력 흠결에 대한 조치/133

3. 당사자능력을 간과한 판결의 효력/133

제4절 소송능력과 변론능력135

Ⅰ. 의 의135

Ⅱ. 소송능력자와 제한능력자135

1. 소송능력자/1352. 제한능력자/136

3. 일부 행위능력자의 소송능력/137

Ⅲ. 소송능력의 소송법상 효과138

1. 소송능력의 법적 지위와 흠결/1382. 추 인/140

Ⅳ. 변론능력140

1. 개 념/1402. 변론능력이 제한되는 경우/141

3. 변론능력의 흠결과 효과/142

제5절 소송상의 대리인143

Ⅰ. 소송상의 대리인의 개념과 종류143

1. 개 념/1432. 종 류/143

Ⅱ. 법정대리인144

1. 개념과 법적 지위/1442. 법정대리인의 종류/144

3. 법정대리인의 대리권/1474. 법정대리권의 소멸과 효과/149

5. 법인 등의 대표자/150

Ⅲ. 임의대리인152

1. 소송대리인제도의 특색/1522. 대리권의 발생 및 증명과 범위/162

3. 대리권의 소멸과 불소멸/1644. 대리인의 지위와 당사자의 경정권/164

Ⅳ. 무권대리와 표현대리165

1. 무권대리/1662. 표현대리/167

3편 소의 의의와 소의 제기

제1장 소의 의의와 종류

제1절 총 론173

제2절 소의 종류173

Ⅰ. 분 류173

1. 제소형태나 시기에 따른 분류/1732. 청구의 성질이나 내용에 따른 분류/174

Ⅱ. 이행의 소175

1. 이행의 소와 실체법상의 권원/1752. 이행판결과 강제집행/175

Ⅲ. 확인의 소176

1. 의 의/1762. 이행의 소와의 차이점/176

Ⅳ. 형성의 소177

1. 의 의/1772. 종 류/177

3. 형성판결의 효력/179

Ⅴ. 소의 성질 논의180

1. 사해행위취소의 소/1802. 주주총회결의무효 확인 등/182

제2장 소의 이익

제1절 총 설184

Ⅰ. 개념정의184

Ⅱ. 소의 이익 개념의 활용184

Ⅲ. 소의 이익의 자리매김184

제2절 권리보호의 자격185

Ⅰ. 소구 가능한 구체적인 권리 혹은 법률관계185

1. 소구 가능성/1852. 구체적인 권리나 법률관계/185

Ⅱ. 법률상․계약상 제소금지 사유가 없을 것188

1. 부제소특약/1892. 불상소합의와 불항소합의/189

Ⅲ. 다른 특별한 구제절차가 없을 것190

Ⅳ. 승소확정판결이 없을 것191

제3절 권리보호의 이익193

Ⅰ. 이행의 소193

1. 현재이행의 소/1932. 장래이행의 소/195

Ⅱ. 형성의 소198

1. 기본적인 형태와 소의 이익/1982. 형성의 소와 실체법/199

3. 채권자취소소송과 소의 이익/200

Ⅲ. 확인의 소200

1. 확인의 이익 개관/2002. 확인의 소의 대상적격/201

3. 확인의 이익 개념/2034. 증서의 진정 여부를 확인하는 소/208

제4절 당사자적격209

Ⅰ. 개념과 의의209

1. 개 념/2092. 당사자적격의 확대/209

Ⅱ. 당사자적격을 갖는 자209

1. 이행소송/2102. 확인소송/210

3. 형성의 소/211

Ⅲ. 제3자의 소송담당211

1. 법정소송담당/2112. 임의적 소송담당/215

3. 집단피해 구제와 특수한 형태의 소송담당/216

Ⅳ. 당사자적격 흠결의 효과217

제3장 민사재판의 객체로서의 소송상 청구

제1절 소송물이론과 현대적 의의218

Ⅰ. 소송물의 의의와 절차법적 의미218

Ⅱ. 실무에서의 소송물의 의미와 역할 218

1. 소송물의 특정/2192. 소송물의 역할과 의미/219

3. 구소송물이론의 불가피성/2194. 구소송물이론의 한계와 대안/220

Ⅲ. 신소송물이론(소송법설)220

1. 배 경/2202. 개념과 종류/221

Ⅳ. 소송물개념의 새로운 접근과 조화222

1. 신실체법설/222

2. EU 법원의 핵심 쟁점설(Core Issue Theory)/222

3. ALI/UNIDROIT의 국제민사소송원칙과 소송물/222

4. 전소 재판의 구속력(Res Judicata) 이론, 청구 배제효(claim preclusion)

쟁점을 기초로 하는 쟁점 배제효(issue preclusion)/223

Ⅴ. 소송물개념의 현대적 의의224

1. 법 현실과 법 정책적 측면에서의 구소송물이론 지지/225

2. 신소송물이론과 법 현실/225

제2절 각종의 소와 소송물의 특정226

Ⅰ. 소송물과 청구취지 및 청구원인226

Ⅱ. 각종 소송에서의 소송물 파악과 특정226

1. 이행의 소/2262. 확인의 소/233

3. 형성의 소/234

제4장 소송요건

Ⅰ. 소송요건의 의의238

1. 기본개념과 특성/2382. 소제기 요건과의 비교/238

Ⅱ. 소송요건의 종류239

1. 일반 소송요건/2392. 개별 소송요건/240

Ⅲ. 소송요건의 조사240

1. 직권조사사항과 항변사항/2402. 소송요건 판단의 기준시/241

3. 소송요건의 심리 방식/242

Ⅳ. 소송요건 흠결의 효과243

1. 본안전 항변과 판단/2432. 소각하판결의 의미/243

제5장 소의 제기

제1절 소 제기 방식245

Ⅰ. 서면에 의한 방식245

Ⅱ. 전자문서에 의한 방식245

Ⅲ. 소제기의 의제246

Ⅳ. 소제기와 허가246

제2절 소장기재사항246

Ⅰ. 필요적 기재사항246

1. 소송당사자와 법정대리인/2462. 청구취지/247

3. 청구원인/249

Ⅱ. 임의적 기재사항250

1. 소장과 준비서면 기재정도/2502. 소장각하사유와 규칙 제62/250

제3절 재판장의 소장심사250

Ⅰ. 소장심사250

1. 소장심사의 대상과 보정명령/2502. 보정명령에 대한 불복/251

Ⅱ. 소장부본의 송달252

1. 소장의 송달/2522. 송달불능과 소장각하/252

Ⅲ. 답변서제출의무와 무변론판결252

1. 답변서제출의무/2522. 변론기일의 지정/변론준비절차 회부/253

3. 무변론판결/253

제6장 소 제기의 효과

제1절 소송계속255

Ⅰ. 의의와 발생시기255

Ⅱ. 소송계속의 효과255

Ⅲ. 소 멸256

Ⅳ. 유사 소송계속256

제2절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256

Ⅰ. 의 의256

Ⅱ. 중복제소가 되기 위한 요건257

1. 전소가 계속 중일 것/2572. 전소와 후소가 동일할 것/257

Ⅲ. 효 과263

1. 소극적 소송요건/2632. 전․후소의 역전 현상/263

Ⅳ. 국제적 소송경합264

제3절 실체법상의 효과264

Ⅰ. 소멸시효와 취득시효의 중단264

1. 재판상 청구의 의미/2642. 시효중단의 범위/267

3. 시효중단의 효력과 소멸/269

Ⅱ. 법률상 기간 준수효과269

1. 제척기간과 출소기간/269

2. 제척기간이나 출소기간의 준수 범위/270

Ⅲ. 지연손해금의 법정이율271

1. 의 의/2712. 적용이 배제되는 경우/272

제7장 특수한 소제기와 간이소송절차

제1절 배상명령 제도274

Ⅰ. 의의와 특색274

Ⅱ. 요 건274

1. 대상이 되는 범죄/2742. 배상명령의 대상이 되는 손해/274

3. 배상명령 제외 대상/275

Ⅲ. 배상명령 절차275

1. 배상명령 신청과 그 효력/2752. 소송비용과 소송대리/276

3. 증거조사/2764. 배상명령과 불복/276

Ⅳ. 배상명령의 효력과 현황277

1. 집행력 있는 정본으로서 기판력 불인정/277

2. 현황과 문제점/277

Ⅴ. 형사소송 절차에서의 화해277

제2절 간이소송절차278

Ⅰ. 소액사건심판절차278

1. 소액사건의 범위와 이송 등/2782. 소액사건심판절차의 특색/279

3. 문제점과 대안의 제시/282

Ⅱ. 독촉절차283

1. 의의 및 요건/2832. 지급명령 절차/285

3. 채무자의 이의신청과 소송절차/285

제8장 소송구조(訴訟救助)

Ⅰ. 의 의287

Ⅱ. 요 건287

1. 소송비용을 지출할 자금능력의 부족/287

2. 패소할 것이 분명하지 않을 것/288

3. 소송구조의 절차/288

Ⅲ. 구조의 효과290

1. 객관적 범위/2902. 주관적 범위/291

Ⅳ. 납입·추심결정과 구조의 취소291

1. 포괄승계인에 대한 납입결정(130조 2항)/291

2. 구조의 취소를 이유로 한 납입결정(131)/291

3. 재판의 확정을 이유로 한 납입 혹은 추심결정(132)/291

Ⅴ. 소송구조제도의 현황292

1. 민사소송법상의 소송구조제도/2922. 기타 법률구조제도/292

4편 제1심 소송절차

제1장 총 론

제1절 심리절차 구조의 변천295

Ⅰ. 변론기일 반복형295

Ⅱ. 집중화된 주된 변론기일형295

제2절 2002년 신모델과 2008년 선택적 준비절차296

Ⅰ. 2002년 신모델296

1. 준비절차의 필수화와 주된 변론기일제도/296

2. 변론기일방식의 운영/296

Ⅱ. 신모델의 문제점297

1. 변론준비기일과 그 한계/2972. 필수적인 준비절차제도의 문제점/297

Ⅲ. 2008년 선택적 준비절차제도298

1. 정치한 사건분류와 조기 변론기일 지정/298

2. 준비절차 방식의 이원화/298

3. 준비절차와 준비기일 방식의 적용 범위/299

4. 집중화된 주된 변론기일형 심리구조의 전망/299

제2장 심리절차의 기본원칙

제1절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300

Ⅰ. 기본개념300

1. 직권주의 및 직권탐지주의/3012. 처분권주의와 변론주의/301

Ⅱ.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수렴302

1. 당사자주의의 변화/3022.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수렴/302

제2절 처분권주의303

Ⅰ. 의 의303

1. 개 념/3032. 처분권주의와 변론주의/303

3. 처분권주의의 제한과 한계/304

Ⅱ. 절차의 개시와 종결305

1. 개 시/3052. 종 결/305

Ⅲ. 심판의 대상과 범위305

1. 기본원칙/3052. 질적․양적 동일성/307

3. 위반효과/311

제3절 변론주의312

Ⅰ. 의 의312

1. 개념과 근거/3122. 소송관과 변론주의/312

3. 본질과 수단/313

Ⅱ. 변론주의의 내용314

1. 주요사실에 대한 주장책임과 구속력/314

2. 자백의 구속력/318

3. 증거에 대한 제출책임/318

Ⅲ. 변론주의의 적용범위와 보완318

1. 직권판단사항/3182. 직권탐지주의와 변론주의 /319

3. 직권조사사항/3224. 진실의무와 완전의무/325

제4절 석명권과 석명의무326

Ⅰ. 의 의326

1. 개 념/3262. 의무로서의 석명과 그 범위 /327

3. 석명권·석명의무의 현대적 의의/328

Ⅱ. 석명 범위의 확대와 한계328

1. 소극적 석명/3282. 적극적 석명/329

3. 제한부 적극적 석명/329

Ⅲ. 석명의 행사 방법과 대상330

1. 질문과 구문(求問)/3302. 법적 관점의 지적/332

Ⅳ. 석명권의 남용335

1. 석명의 주체와 시기/3352. 석명의 방법/335

3. 석명의 남용/335

Ⅴ. 석명처분336

1. 의 의/3362. 석명처분의 결과/336

제5절 직권진행주의와 소송지휘권337

Ⅰ. 의 의337

1. 직권진행주의/3372. 소송지휘권과 이의권/337

Ⅱ. 소송지휘권338

1. 개념 및 내용/3382. 주체와 형식/338

3. 당사자의 신청권/338

Ⅲ. 소송절차에 관한 이의권339

1. 의 의/3392. 적용범위와 포기 및 상실/339

제6절 공개심리주의341

Ⅰ. 협의의 공개재판원칙341

1. 헌법상의 원칙과 민사소송절차/3412. 심리 공개의 범위/342

3. 민사재판과 공개재판원칙/342

Ⅱ. 광의의 공개재판원칙343

1. 개 념/3432. 비밀기재 부분 열람제한/344

제7절 쌍방심리주의와 무기대등의 원칙344

Ⅰ. 형식적 무기대등의 원칙344

Ⅱ. 실질적 무기대등의 원칙345

제8절 구술심리주의와 서면심리주의345

Ⅰ. 구술심리주의 원칙345

Ⅱ. 서면심리주의 보완346

1. 특정 소송행위에 대한 서면 요구/346

2. 서면에 의한 소송기록 작성 요구/346

3. 효율적인 변론진행을 위한 요구/346

Ⅲ. 실질적 구술심리주의347

제9절 적시제출주의347

Ⅰ. 의 의347

Ⅱ. 재정기간 설정348

1. 제출기간의 협의와 설정/3482. 협의 위반의 효과/349

Ⅲ.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의 각하349

1. 의 의/3492. 적용범위와 대상/349

3. 요 건/3504. 효 과/352

Ⅳ. 그 밖의 실권적 제재 규정353

제10절 직접심리주의353

Ⅰ. 개 념353

Ⅱ. 직접심리주의의 보완353

1. 종전 변론 결과의 구술 진술/3532. 증인신문의 재실시/354

Ⅲ. 직접심리주의의 예외355

제3장 변 론

제1절 총 론356

Ⅰ. 변론의 의의와 필요성356

Ⅱ. 필요적 변론의 의미357

Ⅲ. 변론의 방법358

제2절 변론의 준비358

Ⅰ. 변론의 준비로서의 준비서면359

1. 의의와 종류/3592. 기재사항과 첨부서류/360

3. 준비서면의 제출․부제출의 효과/361

Ⅱ. 준비절차의 개시와 진행362

1. 개시와 대상/3622. 준비절차의 진행/362

3. 음성의 송수신 등에 의한 준비절차/362

4. 증거조사/363

5. 변론준비기일의 지정 및 진행과 효과/364

Ⅲ. 준비절차의 종결365

1. 종결원인/3652. 준비기일 종결의 효과/365

3. 준비절차를 마친 뒤의 변론/366

제3절 변론의 실시366

Ⅰ. 변론의 내용366

1. 신 청/3662. 공격방어방법(주장과 증거신청)/367

3. 항 변/3714. 소송절차에서의 형성권 행사/375

5. 소송상 합의(소송계약)/376

Ⅱ. 당사자의 소송행위379

1. 의 의/3802. 종 류/380

3. 특 성/381

제4절 변론의 과정386

Ⅰ. 변론의 개시와 진행386

1. 말과 변론/3862. 변론의 일체성/386

Ⅱ. 변론의 제한·분리·병합387

1. 변론의 제한/3872. 변론의 분리/387

3. 변론의 병합/388

Ⅲ. 변론종결과 재개의무389

1. 법원의 재량/3892. 재개의무와 법원의 설명의무/390

Ⅳ. 변론조서390

1. 의 의/3902. 조서의 기재와 생략/391

3. 조서의 기재방식/3924. 조서의 공개/394

5. 조서의 증명력/395

제4장 심리절차의 진행과 정지

제1절 기 일396

Ⅰ. 의 의396

Ⅱ. 기일의 지정과 신청396

1. 기일지정/3962. 기일지정신청/397

3. 기일의 변경/3984. 기일의 통지/399

Ⅲ. 당사자의 기일 불출석400

1. 변론과 기일/4002. 한 쪽 당사자의 결석과 그 효과/402

3. 양쪽 당사자의 결석과 그 효과/404

제2절 기 간407

Ⅰ. 의 의407

Ⅱ. 종 류408

1. 법정기간과 재정기간/4082. 행위기간과 유예기간/408

3. 불변기간과 통상기간/409

Ⅲ. 진행과 계산410

1. 기간의 진행/4102. 기간의 계산/410

Ⅳ. 소송행위의 추완411

1. 의 의/4112. 추완의 대상이 되는 기간/411

3. 추완사유/4124. 소송행위의 추완절차/413

제3절 송 달415

Ⅰ. 의 의415

1. 개 념/4152. 송달서류/415

Ⅱ. 송달의 담당과 실시기관416

1. 송달담당자/4162. 송달 실시기관/416

Ⅲ. 송달받을 사람417

1. 법정대리인/4172. 소송대리인/418

3. 송달수령권자 및 송달영수인/418

Ⅳ. 송달실시 방법419

1. 교부송달/4192. 송달함 송달/422

3. 우편송달/4234. 공시송달/424

5. 송달의 특례/425

Ⅴ. 외국에 하는 송달426

1. 직접실시방식과 간접실시방식/4262. 조약과 송달/426

Ⅵ. 송달의 흠427

1. 송달의 무효와 이의권의 상실/4272. 망인에 대한 송달과 불변기간/427

제4절 소송절차의 정지427

Ⅰ. 의 의427

Ⅱ. 소송절차의 중단428

1. 의 의/4282. 중단사유/428

3.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4324. 중단의 해소/433

Ⅲ. 소송절차의 중지436

1. 당연중지/4362. 재판에 의한 중지/436

3. 다른 법령에 의한 중지 등/436

Ⅳ. 소송절차 정지의 효과437

1. 당사자의 소송행위/4372. 법원의 소송행위/437

5편 증 거 법

제1장 총 설

제1절 증 거441

Ⅰ. 증거의 의의441

1. 증거수집과 증거조사/4412. 증거의 개념/441

Ⅱ. 증거의 종류442

1. 직접증거와 간접증거/4422. 본증과 반증/442

제2절 증거법의 기본이념443

Ⅰ. 증거에 의한 사실인정443

Ⅱ. 변론과 증거조사의 결합과 분리443

Ⅲ. 재판절차에서 사전절차 중심으로444

Ⅳ. 증거조사에서 증거수집 중심으로444

제3절 증거능력과 증명력445

Ⅰ. 증거능력과 제한445

1. 증거능력의 개념/4452.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446

Ⅱ. 증명력(증거력/증거가치)447

제2장 증 명

제1절 총 설448

Ⅰ. 실체적 진실발견과 증명의 정도448

Ⅱ. 법관의 확신과 증거의 우월448

1. 고도의 개연성에 대한 확신/4482. 증거의 우월/449

제2절 증명정도의 완화449

Ⅰ. 소명(疎明)449

Ⅱ. 법령과 해석에 의한 완화450

1. 법 규정에 의한 완화(202조의2)/450

2. 사회정의와 형평의 이념 강조를 통한 증명의 완화/451

제3절 엄격한 증명과 자유로운 증명451

Ⅰ. 엄격한 증명451

Ⅱ. 자유로운 증명452

1. 자유로운 증명의 개념과 허용성/4522. 자유로운 증명의 대상/452

제4절 증명의 대상453

Ⅰ. 사 실453

1. 주요사실․간접사실․보조사실/4532. 재판과 관련된 사실/453

Ⅱ. 경험법칙454

1. 일반적인 경험법칙/4542. 전문적인 경험법칙/454

3. 경험법칙위반과 상고이유/455

Ⅲ. 법 규456

제5절 불요증사실456

Ⅰ. 의 의456

Ⅱ. 재판상 자백456

1. 의의와 법적 성질/4562. 자백의 대상/457

3. 방 식/4604. 효 과/462

5. 자백간주/464

Ⅲ. 현저한 사실465

1. 현저한 사실과 변론주의/4652. 현저한 사실의 종류와 내용/466

제3장 증거에 의한 사실인정

제1절 자유심증주의468

Ⅰ. 의의와 한계468

1. 민사재판과 자유심증주의/4682. 변론주의의 내재적 제약/469

3. 사실인정의 위법과 자유심증주의 위반/469

Ⅱ. 심증형성의 토대469

1. 증거조사 결과/4692. 변론전체의 취지/472

Ⅲ. 자유심증의 정도473

1. 개 관/4732. 증명의 수준/473

Ⅳ. 자유심증의 한계와 예외476

1. 자유심증주의의 한계/4762. 자유심증주의의 예외/477

제2절 증명책임482

Ⅰ. 의 의482

1. 객관적 증명책임과 주관적 증명책임/482

2. 영미의 주장책임과 증명책임/483

Ⅱ. 증명책임의 분배485

1. 법률요건분류설/4852. 기타 학설과 한계/486

Ⅲ. 원칙의 수정487

1. 증명책임의 전환/4872. 증명책임의 완화/490

제4장 증거조사

제1절 증거수집과 증거조사493

Ⅰ. 개 념493

Ⅱ. 증거수집 및 제출494

1. 증거수집권/4942. 문서목록제출신청/494

3. 영업비밀 등의 보호/494

제2절 증거조사의 개시495

Ⅰ. 증거신청495

1. 신청방법/4952. 신청시기와 철회가능성/495

Ⅱ. 증거채부결정496

1. 법원의 재량과 한계/4962. 이유 명시와 불복/498

Ⅲ. 직권증거조사498

1. 보충성과 임의성/4982. 의무 위반과 석명권의 범위/499

제3절 증거조사의 실시499

Ⅰ. 원칙과 예외499

1. 직접주의와 공개주의/4992. 준비절차에서의 증거조사와 한계/500

3. 법령상의 예외적 취급/5004. 원용과 적법한 증거자료/501

Ⅱ. 증인신문502

1. 의 의/5022. 증인의무와 증언거부권/503

3. 현행법상의 증인조사방식/505

Ⅲ. 감 정510

1. 의 의/5102. 절 차/512

3. 감정결과의 채부/5134. 중재감정계약과 사감정(私鑑定)/514

Ⅳ. 서 증515

1. 서증과 문서의 의의/5152. 문서의 종류/515

3. 문서의 증거능력과 증명력/5174. 서증절차/523

Ⅴ. 검 증534

1. 의 의/5342. 신청 및 절차/534

Ⅵ. 당사자신문535

1. 의 의/5352. 절 차/535

3. 당사자신문의 독립적 지위와 증명력/535

Ⅶ. 그 밖의 증거방법에 대한 증거조사536

1. 기본입장과 특성/5362. 자기디스크 등녹음테이프 등/536

3. 전자문서와 증거조사/537

제4절 증거보전과 증거수집538

Ⅰ. 의 의538

Ⅱ. 요 건539

Ⅲ. 절 차539

1. 소 제기 전 증거보전신청/5392. 소 제기 후 증거보전신청/539

Ⅳ. 효 과540

Ⅴ. 증거보전제도의 새로운 패러다임540

1. 변호사회의 사실조회/5402. 독일의 독립적 증거조사/541

3. 일본의 증거수집처분 등/541

6편 소송의 종료

제1장 총 설

Ⅰ. 소송종료사유545

Ⅱ. 소송종료선언545

1. 소송종료선언의 사유/5452. 법적 성격과 효과/547

제2장 당사자의 소송행위에 의한 종료

제1절 소 취 하548

Ⅰ. 의 의548

1. 개 념/5482. 다른 개념과의 구분/548

Ⅱ. 요 건549

1. 소송행위로서 유효한 요건/5492. 소취하의 시기와 피고의 동의/550

Ⅲ. 소취하의 방법552

1. 서면과 말에 의한 취하와 동의/5522. 취하간주와 상대방의 이의/552

Ⅳ. 효 과552

1. 소송계속의 소급적 소멸/5532. 재소금지/554

Ⅴ. 소취하의 합의559

1. 개 념/5592. 법적 성질/559

3. 항변권 발생설에 따른 취급/560

제2절 청구의 포기와 인낙560

Ⅰ. 의 의560

1. 정의와 비교개념/5602. 청구의 일부에 대한 포기와 인낙/561

Ⅱ. 법적 성질561

1. 소송행위설/5612. 사법행위설과 양성설 등/561

Ⅲ. 요 건562

1. 당사자에 관한 요건/5622. 청구에 관한 요건/562

3. 소송요건과 청구의 포기와 인낙/564

Ⅳ. 시기와 방식564

1. 시기와 철회/5642. 구술과 서면방식/565

Ⅴ. 효 과565

1. 소송의 종료효과/5652. 기판력과 흠을 다투는 방법/566

제3절 재판상화해566

Ⅰ. 소송상화해566

1. 의 의/5662. 법적 성질/567

3. 요 건/5684. 효 과/571

Ⅱ. 화해권고결정575

1. 취지와 의의/5752. 절 차 /575

3. 효 력/576

Ⅲ. 제소전화해576

1. 의 의/5762. 절차와 요건/577

3. 효력과 제소전화해조서의 취소/5794. 문제점과 대안/579

제3장 종국판결에 의한 소송의 종료

제1절 재 판581

Ⅰ. 재판의 의의581

1. 광의의 개념/5812. 협의의 개념/581

Ⅱ. 재판의 종류581

1. 판결․결정․명령/5812. 종국적․중간적 재판/582

3. 명령적․확인적․형성적 재판/582

제2절 판결의 종류583

Ⅰ. 중간판결583

1. 의 의/5832. 중간판결의 대상/583

3. 절차와 효과/585

Ⅱ. 종국판결585

1. 의 의/5852. 전부판결과 일부판결/586

3. 재판의 누락과 추가판결/5874. 소송판결과 본안판결/589

Ⅲ. 판결의 성립과 선고590

1. 판결내용의 확정/5902. 판결서의 작성과 교부/591

3. 판결의 선고와 송달/594

제3절 판결의 효력595

Ⅰ. 자기구속력595

1. 의 의/5952. 판결의 경정/596

Ⅱ. 형식적 확정력598

1. 의 의/5982. 판결의 확정시기와 범위/598

3. 형식적 확정력의 배제/6014. 판결의 확정증명/602

Ⅲ. 기판력 일반602

1. 의의와 문제점/6022. 기판력의 본질론/602

3. 기판력의 작용/6054. 기판력의 소송상 취급/608

5. 기판력 있는 재판/609

Ⅳ. 기판력의 범위와 법 정책611

1. 시적 범위/6112. 객관적 범위/619

3. 주관적 범위/628

제4절 판결의 기타 효력639

Ⅰ. 집 행 력639

1. 개 념/6392. 집행력을 가진 재판과 조서/639

3. 집행력의 범위/640

Ⅱ. 형 성 력640

Ⅲ. 법률요건적 효력640

Ⅳ. 실체법적 효과와 판결의 효력 확장641

1. 반사효 개념의 필요성 여부/641

2. 채권자대위소송과 기판력의 예외적 확장/641

제5절 종국판결에 부수하는 재판642

Ⅰ. 가집행선고642

1. 의 의/6422. 요 건/643

3. 가집행선고의 절차 및 방식/6444. 가집행선고의 효력/646

5. 실효와 회복/647

Ⅱ. 소송비용의 재판649

1. 소송비용/6492. 소송비용의 부담 재판/651

3. 소송비용액 확정절차/6544. 소송비용의 담보/656

제6절 판결의 무효와 편취/부당판결658

Ⅰ. 판결의 무효658

1. 무효인 판결과 그 종류/6582. 상소 등을 통한 외관제거의 실익/661

Ⅱ. 판결의 편취와 부당취득 및 부정이용662

1. 개념의 구분/6622. 편취판결에 대한 구제책/663

3. 집행법상․실체법상의 구제책/6644. 부당판결과 판결의 부정이용/665

5. 소송사기/667

7편 복잡소송형태

제1장 복수의 청구

제1절 개 관673

제2절 소(청구)의 객관적 병합674

Ⅰ. 병합요건674

1. 동종의 소송절차/6742. 공통의 관할법원/675

3. 청구 상호 간의 관련성/675

Ⅱ. 청구병합의 종류675

1. 단순병합/6752. 선택적 병합/676

3. 예비적 병합/677

Ⅲ. 병합청구의 절차와 심판679

1. 병합청구와 심리의 공통/6792. 병합소송의 판결과 상소/679

제3절 청구의 변경685

Ⅰ. 개 관685

1. 개념과 방법/6852. 청구취지의 변경/685

3. 청구원인의 변경/687

Ⅱ. 형 태688

1. 추가적 변경/6882. 교환적 변경/688

3. 청구변경의 형태와 석명/689

Ⅲ. 요 건690

1. 청구기초의 동일성/6902. 현저한 소송절차의 지연/691

3. 청구변경의 종기/692

Ⅳ. 절차와 심판692

1. 청구변경의 신청/6922. 청구변경의 허가/693

3. 청구변경의 불허/6934. 간과판결/694

제4절 중간확인의 소와 반소695

Ⅰ. 중간확인의 소695

1. 의 의/6952. 요 건/695

3. 절차와 심판/697

Ⅱ. 반 소698

1. 의 의/6982. 종 류/699

3. 요 건/7024. 절차와 심판/704

제2장 다수당사자소송

제1절 개 관707

제2절 공동소송707

Ⅰ. 의 의707

Ⅱ. 요 건708

1. 주관적 요건/7082. 객관적 요건/709

3. 직권조사사항과 항변사항/709

제3절 통상공동소송709

Ⅰ. 의 의709

Ⅱ. 심리의 원칙710

1. 통상공동소송인 독립의 원칙/7102. 사실상 소송진행의 통일/710

3. 수정이론과 타당성/7104. 이론상의 합일확정소송/711

제4절 필수적 공동소송711

Ⅰ. 고유필수적 공동소송712

1. 의 의/7122. 소유형태와 필수적 공동소송/712

3. 가사소송과 회사관계소송/716

Ⅱ. 유사필수적 공동소송717

1. 의 의 /7172. 유 형/717

Ⅲ. 필수적 공동소송의 심판718

1. 소송요건의 조사와 흠의 치유/712. 소송자료의 통일/719

3. 소송진행의 통일/719

제5절 특수한 형태의 공동소송722

Ⅰ.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722

1. 의의와 입법 취지/7222. 허용요건/723

3. 형태와 문제점/7264. 심리방법/727

Ⅱ. 소의 주관적 추가적(예비적) 병합731

1. 소의 주관적 추가적 병합/7312. 소의 주관적 예비적 병합/732

제3장 집단분쟁해결제도

제1절 개 관734

Ⅰ. 종래의 집단분쟁과 대응734

Ⅱ. 현대사회와 집단분쟁734

Ⅲ. 한국의 집단분쟁 해결 제도 변화735

제2절 선정당사자 제도736

Ⅰ. 의의와 법적 성질736

1. 의 의/7362. 법적 성질/736

Ⅱ. 요 건737

1. 공동소송인과 그들 가운데 선정된 선정당사자/737

2. 공동의 이해관계/737

Ⅲ. 선정시기와 방법738

Ⅳ. 효 과739

1. 선정당사자의 지위/7392. 선정자의 지위/740

3. 선정당사자의 자격상실 /741

제3절 집단소송(class action)과 단체소송742

Ⅰ. 증권관련집단소송742

1. 도입경위/7422. 가상의 사례/742

3. 이용현황/745

Ⅱ. 다수인관련 분쟁조정제도746

제4절 단체소송과 집단분쟁조정746

Ⅰ. 소비자보호746

1. 소비자 단체소송/7462. 소비자 집단분쟁조정/747

Ⅱ. 개인정보보호748

제5절 집단분쟁과 피해자 구제748

Ⅰ. 현행 제도의 문제점748

Ⅱ. 인터넷․모바일 공동소송과 외국의 집단소송제도 이용 가능성749

1. 인터넷․모바일 공동소송의 출현/749

2. 미국 집단소송절차의 class로 직접 참가/750

Ⅲ. 집단분쟁 구제절차와 사적 집행(私的 執行, private enforcement)750

제4장 제3자의 소송참가

제1절 개 관751

제2절 보조참가751

Ⅰ. 의 의751

Ⅱ. 요 건752

1. 타인 간의 소송이 계속 중일 것/752

2. 소송결과에 이해관계가 있을 것(참가이유)/753

3. 현저한 지연이 없을 것/756

4. 소송행위로서의 요건을 갖출 것/756

Ⅲ. 참가절차757

1. 참가신청의 방식/7572. 참가허가여부에 대한 재판/757

3. 참가인의 소송관여와 참가신청의 취하/758

Ⅳ. 참가인의 소송상 지위758

1. 원칙적 종속성과 예외적 독립성/7582. 참가인의 가능한 행위 /758

Ⅴ. 참가적 효력760

1. 보조참가인에 대한 판결의 효력/7602. 참가적 효력의 범위/760

3. 참가적 효력과 기판력의 차이/7614. 참가적 효력의 배제/762

제3절 공동소송적 보조참가763

Ⅰ. 의 의763

Ⅱ. 유 형764

1. 박탈형(갈음형) 제3자 소송담당/7642. 형성소송의 형성판결/764

Ⅲ. 참가인의 지위765

1. 중간자적 지위/7652. 구체적인 범위/765

제4절 소송고지767

Ⅰ. 의의와 법적 성질767

1. 의 의/7672. 법적 성질/767

Ⅱ. 소송고지의 요건767

1. 소송계속/7672. 고 지 자/768

Ⅲ. 소송고지의 절차와 방식769

1. 소송고지서와 송달/7692. 고지서에 대한 방식 심사/769

Ⅳ. 효 과 769

1. 소송법상의 효과/7692. 실체법상의 효과/771

제5절 공동소송참가772

Ⅰ. 의의와 법적 성질772

Ⅱ. 요 건772

1. 사실심 및 상고심 소송계속/7722. 판결의 효력과 당사자적격/773

3. 합일확정의 필요와 공동소송참가/775

Ⅲ. 참가절차와 효과775

1. 서면과 인지대/7752. 참가와 재판/776

제6절 독립당사자참가776

Ⅰ. 의 의776

1. 개념과 유형/7762. 심리원칙/776

Ⅱ. 절차 구조를 둘러싼 논의777

1. 3개소송병합설과 3면소송설/777

2. 편면참가와 독립당사자참가 구조론/777

3. 법 제67조의 제약을 받는 탄력적인 3개소송병합설/778

Ⅲ. 참가요건779

1. 타인 간의 소송계속/7792. 참가이유와 형태/781

3. 참가의 취지/7854. 소송요건과 소의 병합요건/786

Ⅳ. 참가절차787

1. 참가신청/7872. 참가에 대한 재판/787

3. 단일소송 등으로의 환원/792

제5장 당사자변경

제1절 임의적 당사자변경796

Ⅰ. 의 의796

Ⅱ. 법적 성질797

1. 복합행위설(구소취하·신소제기의 복합)/797

2. 특수행위설/7973. 결 어/798

제2절 법률에 의한 임의적 당사자변경798

Ⅰ. 개 관798

Ⅱ. 피고경정798

1. 요 건/7982. 절 차/800

3. 효 과/800

4. 항소와 원․피고경정/801

Ⅲ. 필수적 공동소송인의 추가802

1. 요 건/8022. 신청과 허부(許否)의 결정/803

3. 효 과/803

Ⅳ. 소의 주관적 추가적 병합803

제3절 소송승계804

Ⅰ. 개 설804

1. 기본개념/804

2. 변론종결 전 승계인과 변론종결 후 승계인/805

Ⅱ. 당연승계805

1. 원 인/8052. 소송상의 취급/805

Ⅲ. 특정승계809

1. 소송물양도의 일반론/8092. 승계의 종류/812

3. 피승계인의 소송탈퇴/815

8편 상소 및 재심절차

제1장 상소제도 개관

제1절 상소의 의의와 목적821

Ⅰ. 상소의 의의821

Ⅱ. 상소의 자유와 내재적 제약821

Ⅲ. 상소의 목적과 최고법원의 역할822

1. 상소의 목적/8222. 최고법원의 역할/822

3. 권리구제형 대법원/822

제2절 상소제한의 필요성과 과정823

Ⅰ. 상소제한의 필요성823

Ⅱ. 상소제한의 과정과 내용823

1. 상고심으로의 접근권 제한/8232. 소액사건의 확대와 상고제한 강화/824

3. 사실상의 상소제한/824

제3절 상소의 종류와 요건 및 효력825

Ⅰ. 상소의 종류와 불복방법의 선택825

1. 상소의 종류/8252. 형식에 어긋나는 재판/825

Ⅱ. 상소의 요건826

1. 의 의/8262. 상소의 일반적 요건/826

Ⅲ. 상소의 효력831

1. 확정차단 및 이심의 효력/8312. 상소불가분의 원칙/832

제2장 항소심 절차

제1절 개 관835

Ⅰ. 항소의 의의835

Ⅱ. 항소심의 구조835

1. 사후심제와 복심제/8352. 속심제 운용/836

Ⅲ. 항소요건과 항소심의 당사자836

1. 항소요건/8362. 항소심의 당사자/836

Ⅳ. 항소제기의 방식과 흐름837

1. 항소장의 제출/8372. 항소장 심사/838

제2절 부대항소와 항소취하839

Ⅰ. 부대항소839

1. 의의와 법적 성격/8392. 요건과 방식/839

3. 부대항소의 이익/8404. 부대항소의 효력/841

Ⅱ. 항소취하842

1. 의 의/8422. 요 건/842

3. 방 식/8444. 효 과/844

5. 항소취하의 합의/8446. 항소취하의 간주/845

제3절 항소심의 심리와 판결845

Ⅰ. 항소심의 심리845

1. 심리의 대상과 심리방법/8452. 항소심의 심리/846

Ⅱ. 항소심의 재판848

1. 항소를 배척하는 경우/8482. 항소를 인용하는 경우/849

제3장 상고심 절차

제1절 개 관854

Ⅰ. 상고의 의의854

Ⅱ. 상고심의 목적과 역할854

Ⅲ. 상고이익855

제2절 상고이유와 심리속행사유855

Ⅰ. 민사소송법상의 상고이유856

1. 일반적(상대적) 상고이유/8562. 절대적 상고이유/860

3. 재심사유와 상고이유/8634. 소액사건과 상고이유/863

Ⅱ. 심리불속행제도864

1. 서 설/8642. 심리속행 사유/865

제3절 상고의 제기 및 효과868

Ⅰ. 상고제기의 방식868

1. 상고장의 제출/868

2. 원심 재판장과 상고심 재판장의 상고장 심사/868

3. 소송기록의 송부와 접수통지/868

Ⅱ. 상고이유서의 강제869

1. 취 지/8692. 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의 법적 성격/869

3. 기재방법과 판단대상/8704. 부제출의 효과/870

Ⅲ. 부대상고870

제4절 상고법원의 심리와 판결871

Ⅰ. 상고법원의 본안심리871

1. 상고이유서의 송달과 답변서의 제출/871

2. 심리의 범위/8723. 소송자료/872

4. 심리방식(구술변론에의 지향)/872

Ⅱ. 상고심 재판873

1. 상고를 배척하는 재판/8732. 상고를 인용하는 판결/874

제4장 항고절차

제1절 개 관880

제2절 항고의 종류와 그 절차881

Ⅰ. 항고의 종류881

1. 통상항고와 즉시항고/8812. 최초의 항고와 재항고/881

3. 준 항 고/8814. 특별항고/882

Ⅱ. 항고의 적용범위882

1. 항고가 허용되는 재판/8822. 항고가 허용되지 않는 재판/883

Ⅲ. 항고의 절차884

1. 당 사 자/8842. 항고의 제기/884

3. 항고제기의 효력/8854. 항고심의 절차와 심판/886

Ⅳ. 재 항 고887

1. 의 의/8872. 재항고할 수 있는 재판/888

3. 재항고의 절차/889

Ⅴ. 특별항고889

1. 의의 및 대상/8892. 특별항고이유/890

3. 특별항고의 절차/891

제5장 재심절차

제1절 재심의 의의와 성질892

Ⅰ. 총 설892

1. 의 의/8922. 법적 성질/892

3. 기능과 차별성/892

Ⅱ. 재심의 구조와 소송물893

1. 재심의 구조/8932. 재심의 소송물/893

Ⅲ. 재심의 소의 적법 요건894

1. 재심의 당사자적격/8942. 재심의 대상적격/895

3. 재심기간/897

제2절 재심사유와 심리898

Ⅰ. 재심사유898

1. 개 관/8982. 개별 재심사유/899

3. 특별법상의 재심사유/905

Ⅱ. 재심의 소 제기와 심리절차906

1. 관할법원/9062. 소의 제기/907

3. 심리와 중간판결제도/908

Ⅲ. 준 재 심910

9편 국제민사소송

제1장 국제민사소송법

제1절 개념과 관련 규정의 변천915

Ⅰ. 개념과 범주915

Ⅱ. 관련규정의 변천915

1. 국제사법의 외연 확대/9152. 민사소송법과 민사집행법의 변화/915

제2절 법적 성질과 법원(法源)916

Ⅰ. 법적 성질과 주요 논의 대상916

1. 절차법으로서의 국제민사소송법/916

2. 주요 논의대상과 기술 방법/916

Ⅱ. 법원(法源)917

1. 국 내 법/9172. 조 약/918

제2장 재판권과 재판권의 면제

제1절 개념과 한계919

Ⅰ. 개 념919

Ⅱ. 한 계919

제2절 민사재판권의 면제920

Ⅰ. 주권면제(외국 국가에 대한 민사재판권 면제)920

1. 절대적 주권면제이론/9202. 상대적 주권면제이론/920

Ⅱ. 기타 면제923

1. 외국 국가원수 및 가족, 수행원에 대한 면제/923

2. 외교면제/9233. 영사면제/924

Ⅲ. 외국군대와 국제기구924

1. 주한미군/9242. 국제기구 등/925

제3절 민사재판권의 장소적 범위926

제4절 재판절차의 면제와 강제집행절차 포함 여부926

Ⅰ. 문제 제기926

Ⅱ. 견해의 대립927

1. 기본 배경/9272. 구체적인 기준/927

제5절 재판권 흠결과 효과928

Ⅰ. 재판권의 흠결928

1. 상대적 주권면제 이론과 재판권 흠결 여부/928

2. 흠결의 효과/929

Ⅱ. 재판권을 흠결한 외국재판의 승인 여부929

제3장 국제재판관할권

제1절 개념과 종류930

Ⅰ. 개 념930

Ⅱ. 직접관할과 간접관할931

제2절 국제사법 제2조와 입법론931

Ⅰ. 국제사법 제2조 이전의 해석론931

Ⅱ. 국제사법 제2조의 신설과 해석론932

1. 실질적 관련성/9322. 최소한의 접촉이론/932

3. 입법과제/933

제3절 국제적 소송경합(lis pendens)933

Ⅰ. 개 념933

Ⅱ. 학설과 판례 현황과 문제점934

1. 승인예측설과 판례/9342. 문 제 점/934

Ⅲ. 국제적 소송경합과 관련문제935

1. 국제적 소송경합과 중복제소 금지의 법리/935

2. 권리보호이익설/9353. 소송절차의 중지 가능성/935

4. 소의 선후 문제/935

제4장 외국재판의 승인과 집행

제1절 개념과 현황937

Ⅰ. 개념과 국내 현황937

Ⅱ. 헤이그 재판협약의 성안과 의의937

1. 출현 배경/9372. 의 미/938

3. 기대효과/938

제2절 외국재판의 승인939

Ⅰ. 승인 대상939

1. 승인 대상의 범주 확대/939

2. 외국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재판/940

3. 외국의 손해배상에 관한 확정재판 등/940

Ⅱ. 승인의 요건941

1. 국제재판관할(1)/9412. 송달의 적법성과 적시성(2)/941

3. 공서(3)/9424. 상호보증(4)/943

Ⅲ. 승인 절차와 효력944

1. 승인 절차/9442. 승인의 효력/944

제3절 외국재판의 집행945

사항색인947

판례색인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