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론
신간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론
저자
곽봉현
역자
-
분야
스포츠/디자인/예술/건강취미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4.02.29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92P
판형
사륙배판
ISBN
979‒11‒303‒1945‒2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8,000원

 초판발행 2024.02.29


안전공학을 연구하며 스포츠와 안전을 융?복합하기 위한 나름의 고민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스포츠시설은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용하는 스포츠인이나 이벤트를 즐기는 관람객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새로운 영역이기도 합니다. 스포츠 종목별 특성을 고려하며 스포츠시설을 설계하는 단계에서부터 준공 후 이용 단계에 이르는 전반적인 안전관리는 매우 폭넓은 분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안전을 위하여 전반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안전관리시스템의 필요 요소를 소개하려 노력했습니다.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는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법률?제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공체육시설과 민간체육시설 일부에 대하여만 안전관?점검의 기준을 정하고 있어 시설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는 미흡함이 적지 않습니다. 당연히 법률적으로 정하는 기준은 최소한의 것이므로 안전의 많은 부분은 시설 소유자나 관리자 또는 운영자 등의 몫이기도 할 것입니다.

이 책은 산업혁명에서부터 발생한 안전공학의 기원과 현재 여러 나라의 전반적인 산업안전관리 현황 및 스포츠 안전관리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안전관리시스템의 변천 과정을 서술하여 안전관리의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는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모든 분야의 안전관리의 핵심은 리스크 평가(Risk Assessment)라 해야 할 것입니다. 이에 스포츠시설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리스크 평가 기법 현황을 소개하였으며, 특히 스포츠계의 현실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리스크 평가 기법의 몇 가지를 상세히 서술하였습니다. 이제 우리 스포츠계에서도 안전을 위한 리스크 평가가 일상화되어야 하겠습니다.

1장에서는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의 개요와 용어를 정리하였습니다. 2장에서는 스포츠 안전스포츠시설 안전스포츠 이벤트 안전으로 구분하고, “스포츠 이벤트 안전참여형 스포츠 이벤트 안전관람형 스포츠 이벤트 안전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습니다. 3장은 국가별 산업안전관리와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주요 기관을 소개하였으며, 4장에서는 산업안전관리시스템의 변천 과정을 설명하였습니다.

5장부터 제9장은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관련 법률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실무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으며, 스포츠시설 안전점검의 종류와 절차, 시기 등을 소개하였습니다. 특히, 9장에서는 체육시설업의 시설기준과 안전?위생 기준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질의응답 사례를 수록하여 업무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10장은 모든 산업의 현장에서 이행해야 하는 리스크 평가를 위하여 관련 기법을 소개하였으며 제11장에서는 스포츠안전문화에 대하여 제2장에서 제시한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의 분류 방식에 따라 문화의 관점을 간략히 소개하였습니다.

앞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이 책을 참조하여 스포츠 안전의 그 틀을 다져가기를 바랍니다. 각 각의 영역에서 나름의 안전관리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스포츠 안전은 영역별 독자성과 유기적 연계성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상호 보완적인 스포츠 안전관리론이 완성되기를 기대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으나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양해하여 주시기를 바라며 보완 및 추가 등의 의견이 있으시다면 <bhkwak@hanmail.net>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42

곽 봉 현

 

곽봉현

 

시스템코리아인증원 부원장

()한국체육학회 스포츠안전위원

()한국체육시설안전관리협회 수석전문위원

한국스포츠시설안전연구원 비상임이사

국민체육진흥공단 안전경영단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시설안전팀장

()스포츠안전재단 스포츠시설관리팀장

국민체육진흥공단 건설사업단 차장

대한민국 제1호 스포츠시설안전전문가

 

<학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박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석사

국민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학사

 

<대표논문>

공공체육시설 안전관리 인식도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및 지방자치단체 인식도 비교 연구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Safety

Mangement of Sports Facilities in Sports Korea

20대 성인 남자를 위한 한국형 최대심박수 추정식 개발

 

스포츠 안전관리 가이드 북(싱가포르) 번역

스포츠 경기장 안전 인증 가이드(영국) 번역기획편


CHAPTER 01 서론


1 도  입 4

2 용어 및 정의 7


CHAPTER 02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1 안전공학의 유래 16

2 스포츠와 인간공학 18

3 스포츠와 안전 20

4 스포츠 안전의 분류 22

가.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24

나. 스포츠이벤트 안전관리   27


CHAPTER 03 국가별 산업안전관리 및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기관


1 미국의 안전관리 기구 현황 38

가. 산업안전보건청   38

나.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소   40

다. 국립 관중스포츠 안전 및 보안 센터   43

2 영국의 안전관리 기구 현황 45

가. 보건안전청   46

나. HSE 과학연구센터   47

다. 스포츠경기장안전국   49

3 일본의 안전관리 기구 현황 51

가. 중앙노동재해방지협회   52

나. 스포츠 안전 재팬   54

4 싱가포르의 안전관리 기구 현황 56

가. 작업장안전보건위원회   56

나. 스포츠안전위원회   58

5 독일의 안전관리 기구 현황 62

가. 독일재해보험조합   63

나. 국가스포츠안전위원회   64

6 프랑스의 안전관리 기구 현황 65

가.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65

나. 체육부   68

7 호주의 안전관리 기구 현황 69

가. 산업안전보건기관   69

나. 호주 스포츠위원회   70


CHAPTER 04 안전관리시스템 현황


1 ISO 체계의  안전관리 74

2 KOSHA-MS 76

3 I2P2 78

4 그 밖의 안전관리 프로그램 80

5 국제안전등급제 83

6 Rasmussen의 안전관리 시스템 86

가. Rasmussen의 Human Error   87

나. Rasmussen의 사회기술 시스템   89


CHAPTER 05 국내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관련 법률


1 국민체육진흥법 98

2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100

3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101

4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106

5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 110

가. 수원   111

나. 가압송수장치   112

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 구역 및 유수검수장치   116

라. 제어반   117

마. 배관 및 밸브   117

바. 간이헤드   119

사.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120

아. 송수구   121

자. 비상 전원   122

차. 수원 및 가압송수장치의 펌프 등의 겸용   122

6 사격 및 사격장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123


CHAPTER 06 스포츠와 인간공학


1 인간공학의 학제 간의 속성 133

2 동작 관련 근골격계 질환 135

가. 근골격계 질환의 동작 관련 위험요인   136

나. 근골격계 질환의 개인적 위험요인   139

다. 근골격계 질환의 사회심리적 위험요인   139

3 인체측정학 141

가. 인체측정학 응용 원칙   141

나. 인체측정의 표준화 용어   143

다. 인체측정의 응용   148


CHAPTER 07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점검


1 체육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기본계획 154

2 체육시설 안전점검 155

가. 체육시설 안전점검의 시기   158

나. 체육시설 안전점검 계획수립   159

다. 안전점검 실시자의 구성 및 자격   160

라. 체육시설 안전점검 관련 자료의 수집 및 보존   160

마. 체육시설 안전점검 장비에 관한 사항   161

바. 체육시설 안전점검의 종류   161

사. 체육시설 안전점검의 절차   163

3 체육시설 안전점검 등의 위임․위탁 164

4 체육시설 안전점검 실시 결과의 이행 165

5 체육시설정보관리종합시스템 운영 166


CHAPTER 08 스포츠시설 설치․이용에 관한 분석


1 체육시설의 분류 170

가. 공공체육시설   170

나. 체육시설업   175

2 체육시설업자의 준수사항 185

3 체육지도자의 배치 187

4 체육시설의 검사 등 190

5 체육시설업의 보험 가입 190

6 체육시설업 등의 승계 193

7 휴업 또는 폐업 통보 등 193

8 시정 명령 194

9 사업계획 승인의 취소 195

10 체육시설업의 등록․취소 등 195

11 행정제재처분 효과의 승계 및 청문 201

12 어린이 통학버스 등의 사고 정보의 공개 202

13 체육시설업협회 203


CHAPTER 09  스포츠시설의 시설기준 및 안전․위생기준


1 공통 기준 209

가. 시설기준   209

나. 안전․위생기준   212

2 골프장업 213

가. 시설 기준   214

나. 안전․위생 기준   215

다. 안전사고 주의사항   215

라. 골프장 이용자 안전수칙   216

3 스키장업 219

가. 시설기준   219

나. 안전․위생 기준   220

다. 스키장 이용자 안전수칙   220

4 요트장업․조정장업․카누장업 222

가. 시설 기준   222

나. 안전위생기준(요트장업․조정장업 및 카누장업)   223

다. 요트장 이용자 안전수칙   223

라. 조정장 이용자 안전수칙   224

마. 카누장업 이용자 안전수칙   225

5 빙상장업 226

가. 시설기준   226

나. 안전위생기준   226

다. 빙상장 이용자 안전수칙   227

6 자동차경주장업 229

가. 시설기준   229

나. 안전․위생기준   230

다. 부지 면적의 제한 사항   231

라. 자동차경주장 이용자 안전수칙   231

7 승마장업 233

가. 시설기준   233

나. 안전․위생기준   233

다. 승마장 이용자 안전수칙   233

라. 말산업 육성법   235

8 종합체육시설업 238

가. 시설기준   238

나. 안전․위생기준   238

다. 종합 체육시설업의 신고 기준   238

9 수영장업 240

가. 시설기준   240

나. 안전․위생기준   241

다. 수영장 이용자 안전수칙   243

10 체육도장업 247

가. 시설기준   247

나. 체육도장업의 운동 종목   247

다. 체육도장 이용자 안전 수칙   247

11 골프연습장업 250

가. 시설기준   250

나. 안전․위생기준   251

다. 골프연습장 이용자 안전수칙   251

12 체력단련장업 254

가. 시설기준   254

나. 안전․위생 기준   254

다. 체력단련장 이용자 안전수칙   254

13 당구장업 260

가. 시설기준   260

나. 안전․위생 기준   260

다. 당구장 이용자 안전수칙   260

14 썰매장업 264

가. 시설 기준   264

나. 안전․위생기준   264

다. 썰매장 이용자 안전수칙   265

15 무도학원업 및 무도장업 268

가. 시설기준   268

나. 안전․위생기준   269

다. 무도학원(무도장) 이용자 안전수칙   269

16 야구장업 272

가. 시설기준   272

나. 안전․위생기준   272

다. 야구장 이용자 안전수칙   272

17 가상체험체육시설업(야구) 274

가. 시설 기준   274

나. 안전․위생기준   274

다. 스크린야구장 이용자 안전수칙   275

18 가상체험체육시설업(골프) 277

가. 시설 기준   277

나. 안전․위생기준   277

다. 스크린골프장 이용자 안전수칙   277

19 체육교습업 278

가. 시설 기준   278

나. 안전․위생기준   279

다. 체육교습업 이용자 안전수칙   279

라.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수칙   283

20 인공암벽장업 284

가. 시설 기준   284

나. 안전․위생 기준   284

다. 인공암벽장 이용자 안전수칙   285

21 그 외 질의응답 사례 287


CHAPTER 10  리스크 평가


1 리스크 평가 기법의 구분 297

2 정성적 리스크 평가 301

가. 위험성 수준 3단계법   301

나. 핵심요인 기술법   304

다. 체크리스트   306

라. 사고예상질문분석   308

마. 위험과 운전분석   309

바. 작업안전분석   312

사. 예비위험분석   314

아. 4M 리스크 평가   316

3 정량적 리스크 평가 319

가. 결함수 분석 기법   320

나. 사건수 분석 기법   323

다. 원인결과 분석 기법   325

라. 작업자 실수분석   330

마. 이상위험도 분석   332

바. 상대위험순위 결정   335


CHAPTER 11 스포츠 안전 문화


1 조직 문화 342

2 안전 문화 344

3 안전문화의 구조와 관리시스템 346

4 스포츠 안전문화 349

가. 스포츠시설 안전문화   350

나. 스포츠이벤트 안전문화   352



참고문헌   361

찾아보기   367



스포츠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스포츠인과 스포츠 관중을 보호하는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의 체계화는 매우 중요한 분야입니다. 그동안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의 부재로 안전관리의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었던 중에 실무적이고 이론적인 귀중한 연구서가 출간되어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스포츠레저안전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우리나라의 스포츠인과 스포츠 관중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관리가 황무지와 같다는 것을 느꼈던 적이 있었습니다. 아무도 걷지 않은 길을 걸으며 묵묵히 안전의 발자국을 남기던 시절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조금 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이라도 이러한 연구서가 출간된 것은 스포츠인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일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곽봉현 박사는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관련 법률의 개정과 교육홍보 등의 행정적 기초를 다졌습니다. 이러한 실무적 경험의 기반 위에 국내 최고의 안전공학 대학원에서 체계적인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를 연구함으로써 스포츠시설 안전관리의 이론이 완성되었습니다. 다른 나라의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현황과 스포츠시설에 대한 리스크 평가 기법 등을 소개하며 스포츠시설의 리스크 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한 최초의 연구서가 될 것입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 컨센서스 성명(2016)에서는 모든 형태의 괴롭힘과 학대가 없는 존중되고, 공평하며, 자유로운 운동 환경을 안전한 스포츠로 정의하였습니다. 우리나라도 자유로운 운동 환경을 조성하여 스포츠에 참여하는 사람과 스포츠를 관람하는 관중이 보호받는 안전한 스포츠 강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스포츠 손상이 스포츠 참여자의 실수에서 일어난다거나, 스포츠 관중의 안전사고가 관중의 부주의에서 발생한 것이라는 무책임하고 무지한 사고 분석은 스포츠 안전을 확보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안전은 개인의 잘못된 행동에서 기인하기보다는 안전관리시스템의 부재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스포츠시설 안전에서 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은 물론 스포츠를 관람하는 관중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포츠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이 필수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론은 스포츠 안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스포츠 엘리트 선수의 손상에 치우쳤던 의학적 관점을 넘어 스포츠 안전의 일반을 조망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것은 매우 인상적입니다. 스포츠 안전을 스포츠시설의 안전관리스포츠 이벤트 안전관리로 구분하여 체계화함으로써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우리나라 스포츠 안전을 위하여 안전공학을 체계적으로 접목시킨 새로운 분야의 정립을 격려하며 스포츠인과 스포츠 팬들의 필독서가 되기를 바랍니다.

 

20242

유 승 민 IOC 위원(대한탁구협회장)

 

추천사

 

스포츠가 중요한 대중문화로 떠오르면서 우리사회를 이해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중매체와 연계된 상업적인 이유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스포츠의 교육적이고 사회적인 가치가 훨씬 크다고 할 것입니다. 스포츠는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 스포츠 종목을 즐기며 여가 활동을 통해 사회 구성원들과 다양한 모습을 만들어 가기 때문입니다.

생활 스포츠에 참여하는 국민이 70%에 이르고 있습니다. 스포츠는 국민의 사회 활동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스포츠의 안전이 곧 국민 안전의 중요한 부분의 하나라고 해도 결코 지나친 것은 아닐 것입니다. 스포츠와 레저에서 국민의 안전이 매우 중요한 사회적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런 때에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론의 출판은 사회적 기여도가 매우 높다고 여겨집니다. 특히, 그동안에 스포츠 참여자들의 부상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스포츠 안전을 스포츠관중의 안전과 스포츠시설의 안전으로 확장하며 스포츠 안전의 학문적 기초를 다진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2014217일 경주 마우나리조트 체육관 붕괴로 부산외국어대학생 10명이 사망하는 대형참사 발생은 우리나라 체육시설의 안전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정부는 20152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전국의 체육시설을 정기적으로 안전관리점검하도록 하였습니다.

이어서 ()스포츠안전재단이 정부 위탁 사업으로 체육시설의 안전위생기준개정을 위한 연구에 착수하였고,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체육시설안전관리점검을 집행하는 위탁기관이 되어 체육시설의 안전 업무를 시행한 지 벌써 1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조금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곽봉현 박사의 풍부한 현장 경험과 열정적 탐구가 이제 훌륭하게 결실을 맺어 스포츠시설 안전의 학문적 연구기반 마련에 새로운 길이 열리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20242

박 영 대 전 문화재청 차장

 

 

추천사

 

체육계에 스포츠시설 안전의 새로운 지평이 열린 것 같습니다. 메디컬 관점의 스포츠 안전에서 영역을 확장하여 안전공학이 융복합된 최초의 스포츠 안전 이론서가 출판되었습니다.

우리 한국체육학회에서는 스포츠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포츠안전위원회를 발족하여 지속적으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엘리트 스포츠인은 물론 생활 스포츠인의 안전한 스포츠 활동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여 리스크 감소 대책을 수립하는 프로세스는 매우 중요한 분야입니다.

이 책은 스포츠 안전을 스포츠시설 안전과 스포츠 이벤트 안전으로 구분정의하고 스포츠 시설물의 안전은 물론 관중과 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스포츠 안전을 이렇게 분류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스포츠 안전공학이라는 새로운 길을 열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88서울하계올림픽경기대회, 2002일월드컵대회, 2003대구유니버시아드대회, 2018평창동계올림픽경기대회 등을 개최한 스포츠 강국으로서 스포츠 안전을 선도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국가 차원에서 스포츠 안전을 국민체육진흥공단과 스포츠안전재단에 위탁하여 다각적인 정책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곽봉현 박사는 국민체육진흥공단에 재직하며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를 법제화하는 일에 깊이 기여하고 초창기의 스포츠시설 안전에 관한 법정 위탁 업무를 직접 집행하며 그 기초를 다져왔습니다. 아울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안전공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며 스포츠 안전을 안전공학과 융복합할 수 있도록 학제 간 교류의 틀을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우리 스포츠인들에게 생리학, 생체역학, 스포츠 심리학 등의 학문에 더하여 안전공학과 인간공학의 학제 간 교류연구는 필수의 영역이 된 것 같습니.

스포츠학의 전문화하는 이론과 실기 지도 능력에 대하여 다양한 현장체험학습과 연구 활동으로 지도자, 관리자, 전문 경영인을 양성하고 현실 사회가 요구하는 멀티플레이어가 되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스포츠시설 안전관리는 현재 우리 시대가 요구하는 안전인을 스포츠 분야에서도 체계적으로 양성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동안 스포츠 안전을 체계화한 전문 서적이 없어 아쉬움이 많았었으나, 스포츠시설, 스포츠손상, 스포츠관중의 범주를 정하여 각 분야에의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함축적으로 정리하여 스포츠 안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생활체육 인구는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안전한 체육활동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입니다. 특히, 익스트림 스포츠 인구의 증가는 극단적인 위험성을 즐기려는 인간의 욕구의 발로로서 안전한 욕구를 넘어서는 사회적 현상이라 해야 할 것입니다. 익스트린 스포츠를 통한 사회적 결합력과 존중감 그리고 자아 실현의 욕구를 만족시기고자 하는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 사회는 안전한 환경으로 인간의 삶을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그런 면에서 스포츠 안전은 사회 안전의 중요한 요소이며 우리 스포츠인들이 사회의 안전을 만들어간다는 자부심으로 더욱 발전시켜야 할 학문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을 통하여 우리 스포츠인들의 안전 역량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20242

이 한 경 한국체육학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