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 지역개발론을 강의한지도 어언 20년이 훌쩍 넘었다. 강의를 시작하고는 한동안 교재 선택을 두고 애를 많이 먹었다. 시중에 관련 전공서적이 몇 권 출간되어 있기는 했으나 마땅치 않아 선뜻 교재로 사용하기에는 좀 망설여졌다. 교재내용의 구성과 전개가 산만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논의내용도 교재마다 상이할뿐더러, 모두 방대한 내용을 단지 평면적으로 수록하고 있는데 그치고 있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일관된 논의흐름을 짚어내기가 어려웠고, 그러다보니 지역개발론을 하나의 분과학문으로 자리매김하는 차별화되는 정체성을 읽어내기도 힘들었다. 교재란 모름지기 체계적인 시각에서 엮고 서술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쭉 해왔다. 지역개발론 교재는 광범위한 내용을 다루는 까닭에 더 더욱 체계적인 안목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생각을 하면서 보다 일목요연하게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려는 의도로 나름대로 강의 노트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이 책은 그동안 쓰고 다듬어 온 강의노트를 묶어서 펴냈다. 본서는 다양한 지역개발 전략 및 정책의 형식과 내용들, 그리고 그 배경을 둘러싼 이론적 논의들을 일관된 흐름으로 체계화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래서 먼저 지역문제를 진단하는 데서부터 지역개발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이고, 왜 발생하며, 그리고 어떤 규범에서 그것이 문제로 인식되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논의를 한다. 이어서 지역개발 전략과 정책의 배경을 이루는 다양한 개발이론들을 조명하였다. 지역개발 전략과 정책의 합리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배경을 이루는 개발관련 이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은 이러한 개발이론이 현실의 지역문제 극복을 위해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하는 차원에서 제시되고 있는 지역개발 전략들을 다루고 있다. 끝으로는 그동안 추진되어온 일련의 지역개발 정책들의 실제모습을 이러한 지역개발 이론과 전략에 비추어 체계화해서 정리하고 있다. 지역문제는 근본적으로 경제성장의 과실이 지역 간에 고르게 분배되지 않은데서 비롯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지역 간 성장 격차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심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나아가 이들 지역문제는 정치문제와 결부되면서 지역 간에 갈등의 골을 더욱 깊게 패이게 하고 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또 빠르게 증폭되는 과정을 이어오고 있다. 지역문제를 더 이상 이대로 두고 볼 수만은 없음을 말해주고 있다. 지역문제에 대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찾아가는 논의가 결코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지역개발에 대한 이론적 논의 기반이 허약한 데서 비롯되는 문제에 다름 아니다. 이 책은 이러한 관점에 입각해서 지역문제와 다양한 개발사고, 그리고 지역개발 전략과 정책들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이론적 맥락에서 밝히는데 역점을 두었다. 아무쪼록 산만하기 쉬운 지역개발 논의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아울러 본서가 지역개발 논의를 이론적으로 한 차원 더 심화시켜 가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또한 가져보기도 한다. 여전히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기꺼이 출판에 응해준 박영사에 깊은 감사 말씀을 전한다.
이병기(李炳璣) 저자 약력 영남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지역사회개발학과 졸업(경제학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 동북아농업개발원 겸임교수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신활력사업 자문위원회 위원 한국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위원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UN FAO National Consultant(Lead/Senior) 한국농어촌유산학회 회장 현재 협성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도시행정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 ●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공저), 법문사, 2006. ●지구촌새마을운동 표준교재(공저), 새마을운동중앙회, 2015. ●참여정부 농촌개발정책의 회고, 『농촌지도와 개발』, 2008. ●농촌계획제도의 실태와 개선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09. ●농촌과소화 실태와 전망, 『농촌지도와 개발』, 2010. ●농지제도의 문제점: 이원화와 부조화 문제, 『농촌지도와 개발』, 2016 외 다수.